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 中 해킹 보복으로 경제제재 검토…2주내 결정
[헤럴드경제=문재연 기자]오바마 대통령이 미국 행정부에 사이버공격을 가해 이익을 얻은 중국 기업과 개인에 대한 경제제재 초읽기에 들어갔다.

워싱턴포스트(WP)는 31일(현지시간) 미국 정부가 지난 해킹사태에 대해 오바마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경제제재를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제재 여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지만 향후 2주 안에 최종 결정이 내려질 것이라고 익명의 행정부 관계자들은 전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 4월 “미국 행정부에 대한 해킹이나 사이버 공격을 시도한 가해자에 대한 광범위한 제재를 허용한다”는 행정명령을 내렸었다.

미국 행정부 관계자는 “지난해 미국 행정부 관계자들의 메일을 해킹해 정보를 빼간 5명의 중국 군 관계자와, 이를 통해 이득을 취한 중국 군수업체에 대해 경제제재를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중국과 충돌할 수도 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조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마크 토너 국무부 대변인은 중국 해커들에 대한 경제제재 검토에 대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다만 “중국 정부의 지원을 받아 미국 기업과 정부의 기밀 자료나 지적 재산권을 도둑질하는 데 대한 우려가 높다”며 우려를 표명했다.

그는 “중국이 사이버 범죄를 지원하면 할 수록 중국에 투자를 기피하는 외국 기업은 증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제임스 클래퍼 미국 국가정보국(DNI) 국장은 지난 6월 미국 연방인사관리처(OPM) 해킹 사태의 용의자로 중국을 지목했다. 지난해 5월 미국 법무부는 중국 인민해방군 산하 사이버부대인 상하이(上海) 61398부대 소속 장교 5명이 US스틸 등 미국 기업들의 컴퓨터를 해킹했다며 산업스파이 등 혐의로 기소했다.


munja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