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中, 증시대책 ‘부양→통제’로 전환…시장개입은 자제, 불법거래 단속 강화
[헤럴드경제=문영규 기자] 중국 정부가 증시부양 대책을 전환한다. 두 달 동안 무려 2000억 달러를 투입한 시장개입이 ‘정책적 실패’라고 판단, 대신 ‘건전한 시장환경 조성’을 명분으로 대대적인 불법투자행위 단속을 벌일 방침이다.

30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중국 정부가 정책변화를 꾀하고 있다면서 규제당국 고위 관계자들을 인용해 이같이 전했다.


중국 금융규제당국 고위 관계자는 “(장 막판 시장개입은) 이례적인 조치였다”라면서 “정부가 앞으로는 추가적인 대규모 주식매입을 자제할 것”이라고 귀뜸했다.

야심차게 준비한 9월3일 전승 70주년 열병식 전 여론과 시장의 동요를 막기 위해 그동안에는 직접 돈을 투입해 증시를 끌어올리지만, 열병식 이후부터는 새로운 정책으로 전환할 방침이다.

특히 당국은 정부의 구제금융을 악용한 개인 및 기관투자자들에 대한 조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FT에 따르면 최근 중국 증권규제당국은 19개 증권사 및 외환거래 금융기관, 국가가 관리하는 각 산업협회 최고 관계자들을 소환, 시장감독을 주문했다.

당국은 또 내부거래 및 시장(주가)조작, 악성루머 유포 등 시장과 관련한 22건의 사건을 공안에 넘긴 것으로 전해졌다. 4거래일동안 주가가 22% 빠지면서 지난 8월 25일에는 사법당국이 ‘시장 내 불법행위’를 저지른 이들 11명을 적발해 체포한 것으로 알려졌다. 체포된 이들 가운데엔 중국 간판 투자은행은 중국국제신탁투자공사(중신은행) 계열 중신증권 관계자 8명도 포함돼 있었다.

지난 6월 5000대를 넘어섰던 중국 증시는 6월말부터 추락하기 시작했고 이후 정부는 국영 금융기관과 연기금 등으로 구성된 ‘내셔널 팀’(National Team)을 통해 2000억달러의 자금을 쏟아부었다. 하지만 시장은 37% 하락했다.

한편 외국인 투자자들도 수사대상에 포함될 전망이다. FT는 일부 정부 관계자들이 “외국인 세력이 의도적으로 시장 불안을 부추겼으며, 이들에 대해서도 엄중 단속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고 전했다.

홍콩 내 한 헤지펀드 매니저는 FT에 “글로벌 투자자들은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당국의 움직임이 무엇을 뜻하는 지를 이해하려 애쓰고 있다”고 설명했다.


yg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