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연휴 건강챙기기]장시간 운전, 잘못하면 ‘옆구리디스크’
- 평소 잘못된 자세, 운동부족, 과체중 등으로 ‘극외측디스크’ 발병률 증가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전 인구의 80%가 일생에 한번 이상 경험하는 질환이 바로 요통이다. 나이가 많든 적든 허리통증으로 인해 고생하는 사람들이 많다.

특히 장시간 책상 앞에 앉아 시간을 보내는 직장인의 경우 허리 질환에 노출될 위험이 크다. 연휴 등에 장기간 운전할때도 허리에 특시 신경을 써야 한다.

최근에는 허리디스크 외에도 잘못된 자세, 운동부족, 과체중 등으로 인해 젊은층에서 ‘극외측디스크’의 발병률도 증가하고 있다. 일명 ‘옆구리디스크’라고도 하는 극외측디스크는 퇴행성 척추 질환의 하나로 알려져 있지만, 젊은층에서도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고 연휴 기간 장시간 운전석에 앉아야 하는 경우 상태가 더 나빠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5년간(2009~2013년) 분석한 디스크 질환 환자 수가 2009년 약 224만명에서 2013년 약 271만명으로 약 47만 명(20.8%) 늘어 연평균 4.8%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출처=123RF]

또 동탄시티병원에 따르면 지난 3개월 동안 허리 통증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 685명을 분석한 결과 약 15%에 해당하는 102명이 극외측디스크 진단을 받았으며, 이 중 30~40대 비율이 20%가량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흔히 알고 있는 허리디스크는 넓은 신경관 내부로 디스크가 튀어나와 정확한 확인이 가능하지만 옆구리디스크는 신경이 빠져나가는 좁은 구멍으로 돌출돼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척추 사이에 완충 역할을 하는 디스크가 옆쪽으로 돌출돼 신경을 누르면서 통증이 발생하는데 증상이 심해질 경우 엉덩이와 허벅지가 당기고 갑자기 다리에 힘이 풀리거나 심각한 마비 증세, 배변장애까지 유발할 수 있다.

동탄시티병원 신재흥 원장은 “직장인 대부분은 하루 8시간 이상 의자에 앉아 일을 하는데 오래 앉아 있을 경우 허리가 받는 하중은 누워있을 때 보다 5~6배 크기 때문에 허리 통증이 발병할 위험이 높은 편”이라며 “극외측디스크의 경우 초기에는 증상이 미미하게 나타나 단순 관절 질환으로 오인하기 쉽고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종종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극외측디스크는 일반적인 검사에서 발견이 어렵기 때문에 MRI 관측 촬영으로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다. 증상이 심하면 신경 손상으로 치료가 어려운 경우도 있지만 초기에는 신경 주사 요법과 약물치료, 그리고 운동과 식습관 변화로 치료가 가능하다.

신 원장은 “극외측디스크가 진행되면 허리와 근육이 약화되기 때문에 고른 영양 섭취와 적당한 운동을 동반하는 것이 치료에 도움이 된다”며 “허리 디스크의 경우 무조건 수술을 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증상이 의심될 경우 신속하게 전문의를 찾아 올바른 진단을 받는 것이 우선이다”고 조언했다.

평소 허리 근육을 강화할 수 있는 수영이나 자전거 타기, 걷기 등의 운동을 꾸준히 하고, 일할 때나 오래 앉아 있을 경우 허리를 구부리지 말고 곧게 펴는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th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