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시, 200만원 때문에 새집증후군 방치?
“친환경 자재 사용땐 분양가 상승”…기업규제 이유 의무화 추진 중단
시민건강 외면·건설사 편향 비판



서울시가 아파트 시공시 새집증후군을 줄이기 위한 친환경 기능성 자재 사용을 의무화<본보 5월 17일 12면 ‘서울시 신축아파트 기능성 자재 사용 의무화’ 참조>하는 주택 정책을 추진하다 돌연 중단해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있다.

서울시는 새집증후군을 줄이기위한 친환경 기능성 자재 시공은 필요하다는 입장이지만 건설사 추가 부담에 따라 아파트 분양가가 200만~300만원 상승 요인이 있어 이를 의무화할 경우 ‘기업규제’에 해당할 수 있다는 이유을 내세우고있다.이에따라 서울시가 건설사 손을 들어주고, 시민건강은 ‘뒷전’이라는 비난이 일고 있다. 서울 아파트 분양가가 수억원대 심지어는 10억원을 넘어가기도 하는데 그중 200만~300만원 정도는 별 문제가 없는 것 아니냐는 얘기다.

특히 서울시 강동구, 서초구, 성북구 등 3개 자치구는 지난 2010년부터 기능성 자재사용을 의무화 하는 ‘청정주택가이드라인’을 조례로 제정 시행하고 있어 서울시의 ‘기업규제’ 논리는 설득력이 없다는 지적이다.이들 3개구는 국토부의 기준이 ‘권장’으로 돼 있어 건설사가 기능성 자재사용을 기피하고있다는 점을 간파, 친환경 기능성자재 사용을 의무화 했다.강동구의 친환경공동주택가이드라인 ‘성과보고서’에는 ▷시멘트독성과 포름알레이드 등의 유해성분을 저감 ▷실내의 습도조절(항균 항곰팡이효과) ▷높은단열 및 축열 성능으로 공기질 개선뿐 아니라 에너지 절감 등의 효과를 크게 거둔것으로 나타났다.

강동구 관계자는 ”300가구 이상 아파트를 대상으로 기능성 자재이용을 의무화했다”며 “이를 지키지 않으면 아예 건축심의 조차 올리지 않고있다”고 밝혔다. 현행 국토부 기준으로는 새집증후군 유발 물질을 감소시키는데 한계가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서울시도 이건기 전 행정2부시장이 퇴임하기 직전만 해도 이 정책을 추진 해 왔다. 당시 서울시 이건기 전 부시장은 “자치구 별로 시행하고있는 가이드라인등을 통합해 올해 하반기 조례 제정을 할 방침”이라고 밝혔었다.

그러나 이 전 행정2부시장이 퇴임한 이후 서울시 주택건축국은 이 사업을 아예 추진하지 않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친환경기능성 자재를 사용하면 건축비가 200만~300만원가량 더 들게되고 아직 대규모 공급업체도 없어 문제가 될 수 있다”며 “현재 조례나 가이드라인을 만들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공사비가 늘어나게 되는 것은 또다른 기업규제라는 입장이다.

이에대해 일각에서는 “어린이들이 아토피와 천식으로 인한 병원비등을 감안할때 분양가 200만~300만원 정도 상승보다는 병원비가 훨씬 더 많이 들어가고 있으며 단열등으로 에너지 절감 효과도 있는데 서울시가 이상한 논리를 펴고 있다”는 주장이다.

정유승 서울시 주택건축국장은 “지난 7월 인사로 사업 인수 인계가 잘 안된 모양”이라며 “새집증후군 문제는 더 이상 방치할 수는 없고 새집증후군으로 고통받는 시민들을 위해 기능성 자재 사용을 의무화하는 조례를 적극 검토 하겠다”고 말했다.


이진용기자/jycaf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