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변기왕 김성우] 당신 손 안의 스마트폰이 더욱 더러워
[헤럴드경제=김성우 인턴기자]변기는 더러울 수밖에 없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그런데 스마트폰이 화장실 변기보다 더러울 수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와 논란이다.

11일 경제전문매체 포브스는 “스마트폰은 소유주와 함께 대중 교통수단, 공공 화장실을 비롯한 다양한 박테리아(세균) 서식지를 따라 다녀서 세균이 득실거린다”고 보도했다.

많은 사람이 오고 가는 공공장소는 박테리아가 서식하기 좋은 환경이다. 기준면적 1인치²(1인치=2.5센티미터) 당 평균 박테리아 수는 가정집 화장실 변기는 50∼300마리 수준인데 비해 공공장소는 1000마리를 훌적 뛰어넘는다. 스마트폰은 주인과 함께 이런 장소들을 오고 간다.

한 시민이 스마트폰으로 뉴스 기사를 읽고 있다.

이에 스마트폰에는 많은 박테리아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스마트폰에는 대장균과 배설물, 연쇄상구균과 황색포도상구균 등 박테리아가 서식하고 있는데, 이중 연쇄상구균과 황색포도상구균은 쉽게 볼 수 없는 박테리아이기도 하다.

포브스는 연구결과를 통해 이를 뒷받침했다. 애리조나 연구팀의 2012년 연구결과를 인용해 아이폰 표면의 위생 상태를 살핀 결과, 대부분의 화장실 변기보다 10배나 많은 박테리아가 검출됐다고 언급했다. 2013년 진행된 연구에서는 1인치²정도의 면적에서 검출된 스마트폰 박테리아가 무려 2만5107마리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다고.

이는 태블릿PC와 게임조종기, 컴퓨터 자판 등 인체와 직접 닿는 전자 제품도 마찬가지다. 특히 태블릿PC는 큰 면적 탓에 스마트폰보다 다양한 박테리아가 서식할 가능성이 높았다. 게임조정기는 변기보다 5배가량 세균이 많은 편으로, 대장균이 많이 검출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컴퓨터 자판은 화장실 변기보다 3배 많은 박테리아 보유수를 가진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포브스는 전자기기의 청결을 유지하기 위해서 화장실에 갈 때는 두고 갈 것을 권장했다. 또한 화장실을 나설 때는 세정제로 손을 씻고, 위생 화장지로 전자기기 표면을 여러번 닦는 것이 좋다고 밝혔다.

ks005@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