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국립국악원, 100년 전 음악을 생생한 가야금 연주로 되살려
[헤럴드경제=신수정 기자] 약 100년 전 기록된 우리 음악이 생생한 연주로 되살아난다.

국립국악원(원장 김해숙)은 오는 13일〈목요풍류〉에서 ‘방산한씨 금보(琴譜)의 <영산회상>’을 무대에 올린다. 국립국악원 정악단 가야금 부수석 고연정이 연주한다.

방산한씨 금보는 1916년 한우석이 엮은 악보다. 〈보허사〉〈여민락〉,〈영산회상〉,〈천년만세〉,〈다스름〉,〈시절가〉등의 거문고ㆍ가야금ㆍ양금의 악보가 수록돼 있다. 또 진귀한 시조 반주가 수록돼 있고, 향피리 위주로 편성해 삼현육각(三絃六角)으로 연주하는 ‘사관풍류(舍館風流)’에 관한 기록이 처음 보인다는 점에서 귀한 악보로 평가되고 있다. 1959년 8월 18일 국립국악원 전시회에서 처음 세상에 알려졌다.

특히 방산한씨 금보의 <영산회상>과 현행 가야금보의〈영산회상〉의 차이점은 현행 연주가 곡별 장(章)의 구별이 분명한데 비해 방산한씨 금보는 장의 구별이 분명하지 않다. 또 선율에 있어 상현도드리부터 타령, 군악 부분은 많은 차이가 있다. 현행 가야금보는 장식음이 더 많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연주를 맡은 고연정은 부산시 무형문화재 제8호 강태홍류 가야금산조 이수자이자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수석을 역임했다. 2002 한일월드컵 기념 남미 5개국 가야금 독주 공연을 비롯해 개인 독주회 개최 등 활발한 연주로 우리 음악을 알리고 있다.

매주 목요일 저녁 8시에 진행하는 <목요풍류>는 전석 2만원이다. 국립국악원 누리집(www.gugak.go.kr)과 인터파크(ticket.interpark.com) 또는 전화(02-580-3300)로 예매가 가능하다.

ssj@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