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가난이 아이들 두뇌 발달 저해…빈곤 악순환”<美의학저널>
[헤럴드경제]‘빈곤이 영유아 뇌 발달을 저해한다’는 연구 논문이 발표돼 주목된다.

가난한 집 아이들의 두뇌는 제대로 성장하지 못해, 결국 빈곤의 악순환이 불가피하다는 속설을 뒷받침하는 의학적 증거인 셈이다.

9일 블룸버그와 연합뉴스 등에 따르면 지난달 말 ‘미국의학협회저널 소아과학’(JAMA Pediatrics)에는 ‘아동빈곤과 두뇌발달·학업 성취도의 관계’라는 논문이 실렸다.

제이미 핸슨 듀크대 교수, 바버라 울프 위스콘신-매디슨대 교수 등은 4∼22세 398명을 대상으로 소속 가정의 소득수준과 두뇌의 상태를 조사했다.

미국 연방정부 설정 빈곤선(FPL)에 미달하는 빈곤층의 자녀는 MRI 검사 결과 대뇌 신경세포가 모인 부분인 회백질이 또래 평균보다 8∼10%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어린이의 대뇌에서 회백질의 양이 적은 곳은 주로 행동과 학습을 관장하는 전두엽과 측두엽이었다.

또 빈곤선에서 바로 상위에 있는 가정의 자녀는 회백질이 평균보다 3∼4%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진은 4인가족기준 연 소득 2800만원이하의 빈곤층 어린이는 표준화된 시험에서 학업 성취도가 다른 어린이들보다 20% 정도 뒤처진다는 사실까지도 확인했다.

이들은 앞서 또한 1∼4세 77명을 대상으로 두뇌발달과 가난의 관계를 조사했다.

그 결과 태어날 때는 빈곤층과 고소득층 자녀의 두뇌에 의미 있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성장 과정을 거치면서 소득수준이 빈곤선의 200% 미만인 가정의 자녀는 고소득층의 자녀보다 회백질의 양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단 중산층에 이르면 소득이 아무리 많은 층의 자녀와도 두뇌에 차이가 없다는사실도 확인됐다.

이 논문은 곧 기회균등을 헌법적 가치로 여기는 미국에서 두터운 중산층을 유지해야 할 필요성을 재확인하는 연구 결과로 주목을 받았다.

올해 3월 국제 학술지 ‘네이처 뉴로사이언스’에 실린 다른 논문은 3∼20세 1천99명을 조사한 결과 빈곤층 자녀의 대뇌 표면적이 작다는 연구 내용을 소개했다.

연방정부 빈곤선과 거의 비슷한 연소득 2만5000 달러(약 2900만원) 미만 가정의 자녀는 연소득 15만 달러(약 1억7500만원) 이상 가정의 자녀보다 대뇌 표면적이 약 6% 작았다.

이 같은 결과는 뇌 발달에 미치는 악영향의 방증으로 해석된다.

가난이 두뇌 발달을 저해하는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두뇌 발달에 필요한 자극을 가정에서 덜 받거나, 교재가 부족하다는 점 등이 막연하게 거론되고 있을 뿐이다.

하지만 위스콘신-매디슨대의 심리학자 세스 폴락은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가난을 납이 든 페인트와 같은 유해물질로 보고 보건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