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괴사성장염 1.5㎏ 몽골 미숙아 수술 성공적으로 마쳐
-중앙대병원, 수술 및 의료비 지원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 1.5㎏의 미숙아로 태어난 몽골의 신생아가 장이 썩어 들어가는 ‘신생아 괴사성 장염’으로 진단돼 자칫 생명을 잃을 뻔했으나 한국 의료진의 도움으로 새 생명을 얻게 됐다.

중앙대학교병원(원장 김성덕)은 최근 ‘신생아 괴사성 장염’을 앓고 있는 몽골 신생아 아마르(생후 1개월)의 수술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병원에서 의료비 일부를 지원하기로 했다고 4일 밝혔다.

아마르는 지난 5월 한국에 체류 중인 몽골 국적의 부모에게서 태어났다.


아버지인 자르갈사이함(52)씨는 한국에서 지방 현장 일용직으로 일하며 몽골에 있는 가족들에게 생활비를 보내면서 생계를 이어가고 있던 2011년 여동생의 신장이식 수술을 간병하기 위해 처음 한국에 입국한 벌러르체체그(45ㆍ여)씨를 만나 결혼했다.

두 사람 모두 적지 않은 나이에 벌러르체체그씨는 지난해 10월 임신에 성공했지만 임신 29주 만에 아이를 출산했다.

1.57㎏의 저체중 미숙아로 태어난 아마르는 태어난지 보름 만에 혈변과 무호흡 증상을 보이며 전신상태가 악화됐다.

‘신생아 괴사성 장염’으로 진단돼 병원에서 금식과 함께 항생제 치료를 받았지만 증상 호전이 없이 더욱 악화되던 중 지난 7월 3일 중앙대학교병원으로 긴급히 이송돼 소아외과 이승은 교수에 의해 응급수술을 받았다.

‘신생아 괴사성 장염’은 장의 점막세포의 괴사가 특징이며, 치료에도 불구하고 약 20% 정도의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질병이다.

중앙대병원 소아외과 이승은 교수는 “저체중의 미숙아로 태어난 아기의 경우 ‘괴사성 장염’ 등에 걸릴 가능성이 크며, 특히 환아의 경우 병원에 왔을 당시에는 전신상태가 좋지 않아 자칫 생명을 잃을 수도 있는 위험한 상황이었다”며 “미숙아로 태어나 수술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다행히 신속하게 응급수술을 하게 돼 생명을 구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한편 병원비 마련이 힘든 이들 부부의 사정을 전해 들은 중앙대병원은 병원 교직원들이 뜻을 모아 새생명기금과 복지재단의 지원으로 의료비 일부를 지원하기로 했다.

현재 신생아중환자실에서 아기의 진료를 돌보고 있는 소아청소년과 이나미 교수는 “아기의 체중이 3㎏을 넘은 가운데, 특별한 증상이 없으면 경과를 지켜본 뒤 이르면 이번 주 안에 건강한 모습으로 퇴원해 가족의 품으로 돌아갈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th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