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해외직구로 산 건강보조식품에 동물의약품 성분이…
-다이어트 효과 표방 제품 등 20개에서 유해물질 검출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승희)는 올해 4월부터 6월까지 3개월 간 해외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판매되고 있는 다이어트 효과(54개), 성기능 개선(24개), 근육강화(31개)를 표방한 식품 109개 제품을 수거ㆍ검사한 결과, 20개 제품에서 이카린, 요힘빈 등 식품에 사용할 수 없는 유해물질이 검출됐다고 20일 밝혔다.

슈퍼제닉(Supergenic), 맥스-슬림(Max-Slim) 등 다이어트 효과를 표방한 12개 제품에서는 동물용 의약품으로 사용되는 요힘빈이나 비만치료제로 사용됐던 시부트라민 등이 검출됐다.

요힘빈은 동물용 의약품(마취 회복제)으로 사용되며, 환각, 빈맥, 심방세동, 고혈압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시부트라민은 고혈압, 가슴통증, 뇌졸중, 수면장애, 변비 등 부작용으로 인해 사용이 중단된 의약품이다.

마카맨(MACA Man), 테스토잭200(TestoJack 200)과 같은 성기능 개선 제품 5개에서는 최음제로 사용되는 이카린 등이 검출됐다.

이카린은 음양곽(삼지구엽초)의 지표성분으로, 음양곽은 한약재나 복합제 의약품 원료(자양강장제)로 사용된다.

슈퍼린(SuperLean), 테스토젠(Testogen-XR) 등 근육 강화 제품 3개에서도 요힘빈이나 이카린이 검출됐다.

이와 관련해 식약처는 해당 제품이 국내로 반입되는 것을 금지하기 위해 관세청에 통관금지를,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는 사이트 차단을 각각 요청했다.

식약처 관계자는 “해외 인터넷 판매제품 중 다이어트, 성기능 강화, 근육 강화 등의 허위ㆍ과대광고 제품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되고 있어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이번 검사는 국내 소비자들이 해외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직접 식품을 구입하는 경우가 늘면서 인터넷 사이트에서 판매되는 식품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됐다.

유해물질이 검출된 제품의 자세한 정보는 식약처 홈페이지(www.mfds.go.kr) > 분야별정보 > 식품안전 > 식품안전정보 > 해외직구식품 유해정보알림방에서 확인할 수 있다.

th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