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유승민 지지율 폭등…與 대선주자 김무성 제치고 첫 1위 등극
[헤럴드경제=김상수 기자] ‘유승민 열풍’은 언제까지, 그리고 어디까지 이어질까.

새누리당 유승민 전 원내대표가 차기 여권 대선주자 지지율 조사에서 첫 1위에 올랐다. 말 그대로 ‘열풍’이다. 원내대표 사퇴 논란이 오히려 유 전 원내대표에겐 기회가 된 셈이다. 지지율 급등에 힘입어 ‘유승밍 대망론’까지 거론되고 있지만, ‘반짝 대망론’으로 선을 긋는 시각도 있다. 흥하든 쇠하든, 그만큼 유 전 원내대표의 일거수일투족이 정치권의 주목을 받게 됐다는 의미다. 

10일 여론조사전문기관 리얼미터의 여권 차기 대선주자 지지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유 전 원내대표는 19.2%로, 김무성 당 대표에 0.4%포인트 앞서며 조사 이후 처음으로 1위를 차지했다. 원내대표직 사퇴가 불거지기 전인 6월(5.4%)과 비교하면 13.8%포인트나 수직상승했다. 불과 한 달 만에 벌어진 일이다. 

김무성 대표는 2위로 밀렸다. 1.4%포인트 하락해 18.8%를 기록했다. 그 뒤로 오세훈 전 서울시장(6.0%),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5.3%), 정몽준 전 대표(4.4%), 원희룡 제주지사(4.3%), 홍준표 경남도지사(2.6%), 남경필 경기도지사(1.9%) 순이다. 

유 전 원내대표는 대구ㆍ경북, 광주ㆍ전라, 대전ㆍ충청ㆍ세종 등에서 1위를 차지했다. 수도권과 서울, 부산ㆍ경남ㆍ울산 등에서도 김 대표에 이어 2위에 오르는 등 전국적으로 높은 지지율을 기록했다.

연령대에선 30~40대가 강세다. 40대에서 30.7%, 30대에서 28.8%로, 각각 13.1%, 4,8%를 기록한 김 대표와 큰 격차를 보였다. 50대와 60대 이상에선 각각 17.6%, 10.1%를 기록, 상대적으로 열세를 보였다. 중년층이 주요 지지기반이란 의미다. 고연령층이 핵심인 새누리당의 전통 지지층과도 다소 차이를 보인다.

정치성향 별로도 중도층이나 진보층에서 강세를 보였다. 중도층에서 25.3%, 진보층에서 29.4%를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고, 보수층에선 8.6%로 김 대표(35.5%)에 크게 뒤졌다.

한편 유 전 원내대표 사퇴 이후 박근혜 대통령 지지율은 다소 하락했다. 이날 한국갤럽이 발표한 박 대통령 국정수행지지율은 긍정평가가 32%로 지난주 대비 2%포인트 하락했다. 부정평가는 59%로 1%포인트 늘어났다. 특히 박 대통령의 주된 지지층으로 꼽히던 50대에서 긍정평가가 42%, 부정평가가 51%로 5주 연속 부정이 긍정을 앞섰다. 50대가 돌아서고 있다는 의미다.

박 대통령 국정 수행에 부정적인 이유로는 ‘소통 미흡’, ‘당청ㆍ여야 갈등’ 등이 주로 꼽혔다. 유 전 원내대표 사퇴 과정에서 불거진 논란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dlc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