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SAT 시험 무엇을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일곱번째 이야기

SAT CR: Critical Reading, Passage Based Questions 

SAT 시험의 핵심은 리딩입니다. 그 중에서도 장문독해가 가장 중요하다고 하겠습니다. 한 세트의 시험에는 4개의 장문독해가 출제 됩니다. 문제수는 40개 입니다. 내용별로 분류해 보면 (1) 스토리가 전개되는 내러티브 Narrative 형식의 소설이나 회고록이 있습니다. (2) 논설문 형식으로 주장과 의견이 전개되는 글이 두 개 정도 출제 됩니다 (3) 설명문 형식으로 주로 자연과학의 내용을 소개하는 글이 한 개 나옵니다. 

소설이 출제되는 경우에는 (1) 등장인물의 성격을 파악해야 하고 (2) 사건을 둘러싼 흐름과 문맥 Context 의 전개 (3) 그리고 등장인물들 간의 또는 사건과 인물들 간의 관계형성과 갈등구조를 이해해야 합니다. 회고록의 경우에는 등장인물 보다는 전환점이 되는 사건의 의미에 중심을 두고 글을 읽습니다. 그리고 해당 사건의 전과 후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게 되는가 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글쓴이의 의도를 파악해야 합니다. 즉, 소설은 지은이가 창작의 과정을 통해 가상의 등장인물과 사건을 엮어서 전개하는 갈등구조가 중심이고, 회고록은 주인공에게 분기점이 되는 사건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사건의 전과 후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가 하는 것이 중심입니다.

설명문 형식의 글은 지은이가 설명하고자 하는 대상에 대한 분석 내용이 중심이 됩니다. 여기서 놓치지 말아야 하는 포인트가 있습니다. 글의 주제와 대상에 대한 설명이 어떠한 중요성과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 어떠한 문맥 Context 에서 글의 대상이 중심 소재가 되고,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는가 하는 점을 반드시 이해해야 합니다. 글의 중심점 Primary Purpose 를 질문하는 문제들에서 단순히 소재를 언급하고 있는 선택지는 정답이 아닙니다. 글의 주제에 관한 문제는 문맥상의 중요성 Significance 를 올바르게 이해하여야 정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하품 Yawning 과 졸음 Sleepiness 의 상관관계를 언급한 글이 있다고 합시다. 그렇다고 해서, 이글의 주제가 하품이나 졸음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하품과 졸음은 소재 Subject 일 뿐입니다. 이글의 주제 Theme 는 하품이나 졸음이 아니라, 하품과 졸음을 소재로 하는 다른 것이 됩니다. 예를 들어, 이 글은 하품과 졸음을 소재로 한,  졸음의 강도에 대한 정확한 접근 Track Sleepiness 또는, 졸음을 어떻게 정확하는 측정할 것인가 How to Measure Sleepiness 등이 주제가 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논설문 입니다. 여기서 중심은 글쓴이의 주장과 의견 입니다. 주장과 의견은 반드시 논란과 화제가 되는 이슈를 담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글 속에서 지은이의 주장과 의견의 배경이 되는 이슈 그리고 그 이슈가 화제가 되는 이유에 대해서 파악해야 합니다. 즉, 글의 주제와 제시된 의견이 논란의 중심 화제가 되는 배경과 문맥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재활용 Recycling 에 대한 찬성과 반대의 글을 읽는 다면, 여러분은 왜 어떤 이유에서 저자가 재활용에 찬성학고 있는가를 파악해야 합니다. 환경 문제가 심각하므로 또는 저자의 동네에서 쓰레기 처리가 이슈가 되고 있기 때문에 등의 구체적 사례들이 글쓴이가 글을 써서 의견을 표현하게 된 이유가 됩니다. 반대로 재활용에 반대 하고 있다면, 여러분은 더욱 더 관심을 갖고 주장의 배경을 파악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당연하게 보이는 재활용의 필요성에 대해서 저자는 왜, 무슨 이유로 반대를 하고 있는가 하는 배경 이유가 중요하게 등장하는 것입니다. 글쓴이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재활용의 필요성에 대해서, 그것이 매우 부정확한 뉴스와 사실에 기초한 비효율적인 선택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재활용을 하는 것이 환경보호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하거나, 오히려 재활용의 비효율성이 환경파괴를  부추기고 있다는 주장을 펼 수 있습니다.
       
정리해 보면, (1) 소설이나 회고록 Narrative 는 등장인물과 사건을 둘러싼 갈등 구조를 통해서 (2) 설명문 Informative 은 화제가 되고 있는 주제에 대한 설명을 통해서 (3) 논설문 Arugumentative, Assertive 은 논쟁에 대한 본인의 의견 전개를 통해서, 각각 전달하고자 하는 메세지가 있습니다. 여러분은 (1) 그 메세지 Theme 을 파악하고 (2) 그 메세지를 전달하는 태도 Tone, Attitude 를 이해하고 (3) 저자의 메세지와 태도가 형성되는 배경과 흐름 Context 를 파악해야 합니다.

다음 글은 문제유형에 따른 장문독해의 분류 그리고 단문독해에 대한 소개편 입니다.

최승범 : SAT-ACT 강사, 미국진학 컨설턴트(헤럴드이프랩www.heraldeprep.co.kr)

  

온라인뉴스팀/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