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신동빈 회장 “無知 리스크 경계…선제적 대응능력 키워달라”
[헤럴드경제=이정환 기자]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8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정책본부 임원과 각 계열사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상반기 그룹 사장단회의를 주재했다.

지난해 11월 제2롯데월드에서 사장단회의를 가진 이후 약 8개월 만이며 올해 처음이다.

신동빈 회장은 그룹 사장단회의에서 메르스로 인한 어려운 상황을 극복해 나가자며 “변화의 시대에 살아남기 위한 선제적 대응능력을 키워달라”고 주문했다. 


그는 “요즘처럼 모든 것이 급속히 변하는 세상에서는 무엇이 리스크인지조차 모르는 무지(無知)의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다”며 “이에 대응하기 위한 변화포착 능력과 시대를 선도하는 기술 및 트렌드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사장단회의에는 신동빈 회장을 비롯해 46개 계열사의 대표이사와 정책본부 임원 등 70여명이 참석했다. 회의에서는 국내외 경영상황 및 하반기 전망 등을 논의했다.

신 회장은 “이전보다 복잡하고 까다로워진 경영환경에 대한 대비를 철저히 해달라”고 당부하는 한편 “우리의 성장기반을 공고히하는 것은 미래를 위해 매우 중요한 일이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가 잘할 수 있는 핵심사업에 집중해야 한다”며 “신사업을 추진할때 ‘연관사업’을 가장 먼저 고려해 우리의 경쟁력이나 핵신역량이 통할 수 있는 곳에서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런 발언은 롯데그룹 최근 kt금호렌터카와 미국 뉴욕 맨해튼에 있는 더 뉴욕 팰리스호텔 등 해외호텔 여러곳을 각각 인수한 사례를 벤치마킹할 것을 시사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미래성장을 위해 ‘인적 경쟁력’도 언급했다.

신 회장은 “미래에는 우리가 가지고 있던 경쟁력이 그 효력을 잃고 생각지도 못한 곳에서 라이벌이 나타나 우리의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며 “미래인재에 대한 투자와 여성인재 육성, 해외인재 발굴 등에 더욱 노력해달라”고 주문했다.

한편 신 회장은 이날 ‘원톱체제설’에 관련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그룹 관계자는 “한국 롯데의 경우에는 신동빈 회장이, 일본 롯데는 쓰쿠다 다카유키 전문경영인 체계로 운영되고 있는 기존 구조에 변화가 없다”고 설명했다.


atto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