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장에서 - 이형석]국민 외면한‘주파수 지상파 몰아주기’
명분도 실익도 없다. 막대한 세수 및 경제 효과가 포기되고, 국민 안전까지 위협받을 판이다. 도대체 누구를 위한 정책이고, 누구를 위한 국회인지 모르겠다. 모두가 피해자이고 방송사만 수혜자인 희한한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700㎒ 주파수 분배 문제다.

미래창조과학부가 국회의 압박에 밀려 결국 황금주파라 불리던 700㎒ 대역을 모든 지상파에 UHD방송용으로 나눠주기로 했다. 최재유 미래부 차관은 지난 6일 국회에서 열린 제 5차 주파수정책 소위원회에 출석해 700㎒ 대역을 KBS, MBC, SBS에 더해 EBS까지 지상파 4개사 5개 채널에 배분하는 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700㎒대역은 아날로그 TV 방송이 종료됨에 따라 남게 된 698~806㎒대 108㎒폭의 주파수다. 이중 정부는 20㎒폭을 국가 재난망 구축용으로 먼저 할당하고 나머지를 모두 통신용으로 하기로 했으나 방송사를 뒤에 업은 국회의 강경한 입장에 밀려 지상파 4사 5개 채널에 총30㎒를 내주기로 했다. 통신용은 남은 40㎒폭뿐이다.

그 대가는 혹독하다. 업계와 학계에서는 700㎒ 대역을 통신사에 팔 때 정부의 주파수 경매 수입을 10년간 2조원 이상으로 추산한다. 하지만 방송용 배분으로 최소 1조원의 정부 수입이 날아간다. 보스턴컨설팅그룹은 해당 대역을 통신용으로 활용할 경우 방송용보다 10배의 GDP 증가 효과와 5배의 세수 증대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 모든 연구 지표가 방송용보다 통신용 활용의 경제적 효과가 압도적이라고 말한다.

국민 안전에도 문제가 생겼다. 정부는 주파수 할당에 EBS를 포함시키면서 통신용-방송용 사이 보호대역을 10㎒폭에서 5㎒폭으로, 방송용과 재난망 사이 보호 대역을 3㎒폭에서 2㎒폭으로 줄이기로 했다. 서로 간격이 줄면 간섭이 심해진다. 기차의 안전운행이나 재난시 통신용으로 쓰는 재난용 주파수에 간섭이 생기기라도 하면 대형 안전사고를 초래할 수 있다.

국회와 방송사는 ‘공익’을 내세우지만 지상파 직접 수신 가구는 6.8%에 불과하다. 이동통신 가입자는 5700만명이다. 통신량은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먹통’된 방송사와 국회, 그리고 여기에 장단맞추는 정부 정책이 대한민국을 ‘통신 먹통’으로 만들지나 않을지 우려된다. 주파수 논의, 원점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 su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