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벼랑끝 그리스-산업계 영향]회복 기미 유럽시장 찬물…수출전선‘먹구름’
환율 악재 이어 자동차 수출 침체 우려
유럽 원유수요 감소땐 정유사 이익 줄어
항공업계도 장기화땐 관광객 감소 타격


그리스 국민이 국제채권단이 제시한 긴축안에 반대했다는 국민투표 결과가 나오면서 산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그리스 사태가 대 유럽 수출 불안을 야기해 가뜩이나 저조한 올해 수출에 더 큰 먹구름을 드리우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대표적인 자동차 기업인 현대ㆍ기아차는 그리스발 재정 불안으로 유럽 전체 경기가 위축될 수 있는 점을 우려하면서 사태추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회복 기미를 보이던 유럽 자동차시장이 이번 사태로 인해 급속도로 얼어붙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유럽 자동차시장이 다시 침체 국면에 빠지게 되면 현대ㆍ기아차의 유럽 판매 전략에 차질이 생길 수밖에 없다. 
울산 현대자동차 수출 야적장.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에 따르면 5 대 유럽 자동차 판매량은 전년 동월 대비 1.4% 증가한 115만2000대, 1~5월 판매는 6.7% 증가한 600만대로 나타났다. 이는 경기회복세에 따른 소비심리 회복에 따른 것이다. 특히 남유럽 및 체코, 슬로바키아 등에서 증가세를 주도했다.

현대ㆍ기아차 관계자는 “환율로 한 차례 고전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그리스 사태는 자동차 수출에 분명한 악재”라고 밝혔다.

현대ㆍ기아차는 유럽 시장에서 SUV 판매량이 눈에 띄게 늘고 있는 만큼 하반기에는 신형 투싼과 신형 스포티지 등 SUV 중심으로 신차를 출시해 유럽 위기를 돌파한다는 전략을 마련해 놓고 있다.

그리스 사태가 유가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정유업계도 예의 주시하고 있다. 이란 핵협상에 더해 그렉시트 우려감으로 유가가 단기간에 크게 출렁일 수 있다는 판단이다. 물론 올해는 유가가 1 배럴당 60 달러대에 머물고 있다는 점에서 배럴당 100달러대를 기록하던 지난해보다는 상대적으로 진동폭이 덜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경기회복세가 나타나던 국면이라서 당장 대 유럽 원유 수요가 크게 감소하지는 않겠지만, 유가 회복세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다른 업체 관계자는 “유럽 수요가 조금씩 살아나는 상황이었는데, 그리스 사태로 인해 유럽 경기가 다시 한순간에 가라앉을 수 있어 우려한다”며 “유럽경기가 가라앉으면 우선 서부텍사스 중질유(WTI)가 영향을 받고, 곧바로 두바이유로 연결돼 재고손실과 정제마진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정유업계는 다만, 이번 사태가 중동정정불안과 같은 요인들과 마찬가지로 일시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이미 유가에 어느정도 반영됐다는 점에서 유가 등락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다.

항공업계는 당장 큰 영향은 없겠지만 앞으로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등 국적 항공사는 그리스 직항편이 없기 때문에 이번 사태로 직접적인 악 영향을 받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 항공회사 관계자는 “지난 1~4월 공동운항을 이용해 그리스로 간 승객은 단 4명에 불과했다”며 “외국 항공사 중에도 그리스로 바로 가는 항공편은 없다”고 말했다.

항공업계는 다만 향후 그리스 정국 불안이 장기화되면 남유럽 관광객이 줄어 영향을 받게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전자업계는 휴대전화와 프리미엄 TV 를 비롯한 가전제품의 대 그리스 판매실적은 미미한 반면 대 유럽 수요가 증가추세라는 점에서 이번 사태가 실적에 별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진단했다. 하지만 그리스의 유로존 탈퇴와 유럽 주요국 재정위기가 재부각될 경우 2009~2010년 유럽 경제위기에 준하는 비상 상황이 올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의 시선을 보내고 있다.

조선업계는 그리스 사태로 인해 올들어 가장 크고, 직접적인 악영향을 입고 있는 상황이다. 대 그리스 선박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89.5%나 감소한 것. 신규 선박의 발주자인 대형 해운업체가 몰려 있는 그리스에서 금융경색으로 돈줄이 묶이면서 발주가 줄어든 때문이다. 
한편 그리스는 교역 규모가 우리나라 전체 교역액의 0.1%에 불과해 수출이나 국내 기업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파악하고 있다. 다만 2010년 유럽 재정위기 때처럼 그리스에서 촉발된 위기가 주변국들로 파급될 경우 유럽 경기침체로 이어져 수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유럽 수출액은 우리나라 전체 수출액의 12% 이상을 차지한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그리스 사태가 디폴트에 이어 유로화 사용을 포기하는 그렉시트(Grexit)로 이어질 경우 올해 우리나라의 유럽연합(EU) 수출액이 7.3% 포인트 추가 감소할 것으로 관측했다. 올 상반기 대 EU 수출액은 이미 14.7% 감소한 상태다.

재계팀/i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