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시, 잠실대교~행주대교 조류경보 첫 발령
[헤럴드경제=최진성 기자] 서울시가 30일 오후 2시를 기해 한강 잠실수중보 하류구간에 올해 첫 조류경보를 발령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 29일 잠실보 하류 성수대교, 한남대교, 한강대교, 마포대교, 성산대교 등 5개 지점에서 실시한 조류검사에서 남조류세포 등이 조류경보 기준을 초과했다.

성산대교 지점은 남조류세포수 2만7076cells/mL, 클로로필-a 농도 75.1㎎/㎥가 검출돼 조류경보 기준을 넘었다. 성수ㆍ한남ㆍ한강ㆍ마포대교 지점은 남조류세포수 567~4588cells/mL, 클로로필-a 농도 22.9~49.2mg/㎥로 측정돼 조류주의보 기준을 초과했다.

한강 하류 방화대교~신곡수중보 구간 녹조 현상. 출처: 서울환경운동연합.

이번에 검출된 남조류의 우점종은 마이크로시스티스로 한강 하류 여러 지점에서 발견됐다. 남조류로 인한 독성 여부는 다음달 3일 나온다.

잠실보 상류구간은 현재까지 조류경보 기준을 초과하지 않았다. 하지만 클로로필-a 농도는 5.3~20.6㎎/㎥, 남조류세포수는 40~370cells/mL가 검출돼 조류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강 상류보다 하류에서 먼저 조류경보 기준을 초과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상황이다. 서울시는 6월 팔당댐 방류량이 지난해 6월에 비해 56% 수준으로 줄어 물의 흐름이 정체된데다 한강 하류의 경우 서해에서 유입되는 해수의 영향으로 하천 흐름이 원활하지 못해 녹조 현상이 집중적으로 나타난 것으로 분석했다.

서울시는 ‘조류대책본부’를 가동하고 상황총괄반, 상황수습반, 측정분석반, 수도대책반, 홍보지원반 등을 편성해 운영하고 있다.

또 부유성이 있는 녹조를 하류로 보내기 위해 신곡수중보의 수문을 개방하지 않고 녹조가 고정구조물 위로 월류되도록 유도하고 있다. 한편 한강에는 지난 2000년부터 현재까지 총 8회 조류주의보가 발령됐다. 지속일수는 평균 17일이다.


ip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