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체납차량 꼼짝마”…자동탐지 시스템 서울시 전 지역 도입한다
주차장 번호판 인식영상 연계
서울시가 일부 자치구만 도입, 운영하고 있는 체납차량 탐지시스템을 25개 모든 자치구로 확대한다.

29일 서울시에 따르면 올해 4월 기준 자동차세 체납액은 3440억원(59만 6229대)에 달한다. 1회 체납한 비중이 46.8%로 전체 중 가장 많지만 6회 이상 체납한 예도 22.3%를 차지한다.

또 지난해 기준 지방세 평균 징수율은 97.6%이지만 자동차세(소유분) 징수율은 91.7% 수준으로 지방세 중 가장 낮다.

이에따라 서울시는 체납차량의 번호판을 영치하는 방식으로 납부를 강제하고 있지만 효과가 미미해 차량번호판 자동 인식 기능과 영치 활동을 연계하는 체납차량 탐지시스템을 확산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최근 3년간 번호판 영치 실적은 2013년 5만 4273대, 2014년 5만 2793대, 올해 3월말까지 1만 3028대로 전체 체납차량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한 실적이다.

현재 체납차량 탐지시스템을 도입한 구는 성동구, 서대문구, 관악구, 서초구, 송파구다.

이들 구는 폐쇄회로(CC)TV와 공영주차장 등의 번호판 인식 영상 자료를 영치 업무에 활용하고 있다. 지난해를 기준으로 이 시스템을 활용한 징수 실적은 전체 실적의 15.3%를 차지했다.

이에 시는 실효성이 있는 공영ㆍ공공주차장을 위주로 번호판 인식 영상을 연계해 체납차량 탐지시스템을 우선 도입할 방침이다.

차량번호판을 자동으로 인식하는 LPR(License Plate Recognition) 장치가 설치된 주차장은 주차장 설치업체와 협의해 영치 부서와 회선을 연계, 실시간으로 차량 체납자료를 받는다.

LPR 장치가 없는 주차장은 번호판 자동 인식을 할 수 있는 카메라를 별도로 설치해 세무부서에 연계할 계획이다.

소요 예산은 주차장 1곳당 700만∼1000만원이 들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는 “시 예산을 별도 편성해 자치구를 지원하는 방식보다는 자치구 세입 증대 평가 인센티브(총 50억원) 지급 시 세입 증대 사업인 체납차량 탐지시스템 도입을 우선으로 고려해 배정하겠다”고 밝혔다.


이진용 기자/jycaf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