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모호한 잣대·소환대상 구색맞추기…‘成리스트’ 수사 결국 속빈강정?
‘성완종 리스트’ 수사는 여권 주류, 비주류, 야권, 세 진영에서 골고루 2명씩 소환조사하는 외양을 보이고, 리스트 안과 밖의 인사 각 3명씩 조사를 하는 것으로 균형을 맞춘 가운데 막판을 향해 가고 있다. 이같은 외형적 균형은 잘 짜여진 것 처럼 보이지만, 작품성이 뛰어났다는 평가를 듣기에는 내용상 부족한 면도 있다.

거액 수수 의혹이 구체적으로 제기된 인사는 소환조차 하지 않고, 비교적 적은 금액을 받은 것으로 알려진 인사의 소환 소식은 검찰청사 밖에서 새나왔다. 또 수사 대상자 옥석 가리기, 죄질에 따른 소환대상자의 구분 등에서 일관된 잣대가 적용되지 않았다는 지적도 들린다.

▶수사팀 성과=특별수사팀(팀장 문무일 검사장)은 사건 핵심관계자의 사망, 최측근들의 장부 폐기 및 함구라는 ‘악재’ 속에서 광범위한 저변조사를 통해 실체적 진실에 다가갔다.

수년간 성 전 회장의 행적을 정밀 복원했고, 숱한 증거인멸 시도를 막아내며, 홍준표 경남지사, 이완구 전 총리를 재판에 넘길만한 증거를 확보한 것이다.

허허벌판 위에 ‘정의의 집’을 세운 점은 ‘유언수사’라는 난제 해결의 새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2 대 2 대 2’라는 소환 대상자의 정파별 균형은 이번 수사 막판 야권인사 2명의 등장과 함께 이뤄졌다. 여권 주류쪽에서는 이완구 전 총리와 홍문종 의원이 소환조사를 받았다.

비주류로는 홍준표 경남지사가 장외 항변 끝에 검찰청에 출두했고, 이인제 의원에게는 오는 26일 검찰청에 나와달라는 통보가 갔다.

야권에서는 고(故) 노무현 대통령의 친형 노건평씨가 “2007년 성 전 회장 특별사면 청탁을 했다” 경남기업측 참고인 진술에 따라 24일 검찰조사를 받고 있고, 김한길 전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는 수사팀과 소환시키를 저울질하고 있는 상황이다.

▶모호한 잣대=지도층인사에게 검찰소환은 모욕으로 받아들여진다. ‘성완종 메모’에 이름만 달랑 나왔던 홍 지사는 소환됐고, 이병기 청와대 비서실장은 오지 않았다. 같은 1억원이라도 홍 지사는 재판에 넘겨지고 김기춘 전 실장은 서면조사만 받았다.

2007년 7억원 수수 의혹을 받고 있는 허태열 전 비서실장은 서면조사했고, 2012년 2000만원을 받은 것으로 알려진 이인제 의원은 조만간 소환된다.

2007년 박근혜 대선 캠프에서 홍문종 의원은 조직총괄본부장, 유정복 인천시장은 직능총괄본부장, 서병수 부산시장은 당 사무총장 겸 당무조정본부장으로 활동했다 성 전회장은 녹취록에서 ‘유 시장 3억원, 서 시장 2억원, 홍 의원 2억원’이라고 밝혔지만 홍의원만 소환조사를 받았다. 1억 단체장은 부르고, 2억~3억 단체장은 서면조사했다.

대통령의 특사 의혹 수사 하명과 이런저런 '외풍' 논란은 그들을 곤혹스럽게 했다.그들을 곤혹스럽게 했다. 그러나 이번 수사팀이 쌓은 ‘미완성’의 성과가 어느 시점엔가 새로운 불씨가 될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함영훈ㆍ양대근ㆍ강승연 기자/abc@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