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버스요금도 오르는데…파업까지…”
市, 27일부터 버스요금 인상에…5개월간 버스노조 대화 외면
애꿎은 시민들만 희생양…노조 7.29% 인상 vs 사측 동결
25일 파업 예고…오늘 협상서 결정…일부선 “평균연봉 4500만원 과욕”



서울시버스노동조합의 총파업이 임박한 가운데 서울시의 ‘불통’ 리더십이 또다시 도마에 올랐다. 여론수렴 없이 버스요금을 인상한데다 버스노조의 대화 요구를 5개월간 외면하면서 결국 시민 불편만 가중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24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시 버스노조가 ‘25일 총파업’을 결의한 것은 임금 및 단체협상 교섭대상인 서울시내버스운송사업조합(사측)의 미온적인 태도와 이를 방조한 서울시의 무관심이 빚어낸 결과로 해석된다.

버스노조는 지난 1월부터 사측과 12차례에 걸쳐 교섭을 진행했다. 버스노조의 임금 7.29% 인상 요구에 사측이 동결로 맞서면서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사측은 특히 “서울시가 버스노조의 요구안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내놓지 않아 대안을 제시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교섭의 주도권을 서울시가 갖고 있는 셈이다.

A노조 관계자는 “노조는 협상 과정에서 사측이 대안을 만들 수 있도록 최고 수준의 요구안을 제시한다”면서 “무리한 요구라도 실질적인 교섭권을 갖고 있는 사람(서울시)이 나와야 대화를 진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대해 일부에선 준공영제로 전환된 이후 서울시 버스기사의 평균 연봉이 4500만원이 넘는데 무리한 요구를 하고 있다며 경제상황을 감안, 버스노조도 합리적인 제안을 해야 할 것이라는 주장이 일고 있다.

대화 채널이 막힌 버스노조는 교섭 대리인인 사측과의 협상이 어렵다고 판단하고 지난 9일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 임금 및 단체협상 조정을 신청했다. 지난 23일에는 전체 조합원 1만6505명을 대상으로 총파업 찬반투표를 실시한 결과 찬성 1만4949명, 반대 382명, 무효 39명으로 총파업을 결의했다.

버스노조는 이날 오후 마지막 조정회의가 결렬되면 25일 새벽 4시부터 운행중지 등 전면 파업에 돌입할 예정이다.

노사를 중재해야할 서울시는 사태가 이 지경이 될 때까지 버스요금 인상에만 몰두했다.

서울시는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여파로 경기침체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반대 여론을 무릅쓰고 오는 27일 새벽 첫차부터 버스요금을 150원 인상한다고 밝혔다. 파업으로 인한 시민 불편은 아랑곳하지 않고 가계 부담만 가중시킨 셈이다.

서울시는 사후약방문으로 시민 혈세를 투입해 비상수송대책을 가동했다. 버스운행이 중단될 경우 자치구별로 전세버스 등을 빌려 ‘지하철 연계 무료 셔틀버스’를 운행하고, 출퇴근시간 지하철을 증회 운행하기로 했다.

결국 서울시가 버스 노사의 교섭을 방조한 대가로 시민들은 요금 인상에 세금 부담까지 지게 됐다.

한 관계자는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는 꼴”이라면서 “인상된 요금에 세금까지 투입하면서 애꿎은 시민들만 희생양이 됐다”고 말했다.

신종우 버스정책과장은 “메르스 사태로 경제상황도 않좋은 상황에서 버스노조가 무리한 요구를 하고 있다. 노조도 합리적인 안으로 수정안을 들고와야 협상이 진행 될 것”이라며 “오늘 협상에 최선을 다해 파업만은 막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진성 기자/ip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