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데이터랩] 고검장서 법무 직행 김현웅…평탄치만은 않은 그의 앞길
원칙중시 사회통합 적임자…호남출신 5번째 장관 ‘안정’무게둔 朴회심카드…사정 지휘·출구전략 모색 등 난제 산적
‘법과 원칙을 지키면서 사회통합을 이룰 적임자’ 박근혜 대통령의 ‘포스트 황교안’ 카드는 김현웅(56ㆍ사법연수원 16기) 서울고검장이었다. 메르스 사태로 민심이 어수선한 상황에서 법무부장관 후보로 그가 내정된 것을 두고 법조계에선 무난하고 안전한 선택이란 말이 나온다. 임기 절반을 남겨두고 메르스 사태 등으로 최악의 위기를 맞은 박 대통령이 법무부장관 인선만큼은 안정에 무게를 뒀다는 분석이다.

그도 그럴 것이 김 내정자의 고향은 전남 고흥이다. 호남 출신 법무부장관이 지명된 것은 이명박 정부 시절인 2009년 9월 이귀남(64ㆍ12기) 전 장관 이래 6년 만이다. 또 이번 정권에서 국무위원에 호남 출신을 발탁한 것은 방하남(전남 완도) 고용노동, 진영(전북 고창) 보건복지, 김관진(전북 전주) 국방, 이기권(전남 함평) 고용노동 등에 이어 5번째다. 현재 김진태(63ㆍ14기) 검찰총장을 비롯해 대검차장, 서울중앙지검장 등 검찰 요직에 영남 출신들이 포진해 있어 지역 안배를 고려한 탕평 인사라는 분석이 많다. 박 대통령은 그동안 영남ㆍ성균관대 출신 법조인을 중용해왔다. 실제 현 정권 들어 국가정보원장, 검찰총장, 경찰청장, 국세청장 등 4대 권력기관장에 지명된 9명 중 호남 출신은 한 명도 없었다.


김 내정자는 박 대통령과 2대에 걸친 간접 인연을 맺고 있어 여권에서도 비교적 부담 없는 인물로 받아들여진 것으로 알려졌다. 그의 부친은 판사 출신인 김수 전 의원으로, 1979년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된 뒤 박정희 전 대통령이 이끌던 민주공화당에 입당했다.

이와 함께 김 내정자가 현직 고검장이라는 점에서 국회 인사청문회 통과 가능성을 염두에 뒀다는 분석도 나온다. 전관예우나 고액연봉 논란에서 자유로운 현직 고검장을 점찍었다는 것이다. 현직 고검장이 법무장관으로 지명된 것은 1997년 김영삼 정부 시절 김종구 전 장관 이후 18년 만이다.

그렇다고 해서 김 내정자의 앞길이 평탄한 것만은 아니다. 청문회의 벽을 넘더라도 난제가 산적해있다. 두 기수 선배인 김 총장과 호흡을 맞춰 연초부터 이어진 사정정국을 진두지휘하는 한편 출구전략도 모색해야 한다. 특히 성완종리스트 수사는 그 결과에 따라 메가톤급 후폭풍을 가져올 수 있다.

“법과 원칙을 지켜내고 사회통합을 이루는데 혼신의 힘을 다하겠다” 김 내정자의 첫 일성이다. 이 말이 지켜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강승연 기자/sp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