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中 ‘자산효과’ 이번엔 안통했다
증시 호황 →소비증대 연결 효과 실종
증시참여수 총 인구의 7%불과 제한적



중국 증시의 호황이 소비증대 등 경기 부양으로 이어지는 ‘자산효과(wealth effect)’가 나타나지 않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2일 “미국 같은 선진시장에서 증시가 오르면 소비 진작과 경제 부양에 도움이 되지만 중국에서 이런 효과는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상하이 종합주가지수는 지난 12개월 새 122% 폭등했지만, 올 4, 5월에 소비자물가는 1년 전에 비해 각 10% 오르는 데 그쳤다.


HSBC도 아시아 지역 중 홍콩, 한국, 대만 등 금융시장이 발달한 시장에선 자산효과가 강력한 반면 필리핀, 인도네시아, 중국 등에선 제한적으로 나타난다고 분석했다. 일례로 홍콩에서 항셍지수가 10% 오를 때 민간소비는 1.1%포인트 증가했지만, 중국에서는 이 수치가 0.2%에 그쳤다.

증시 호황이 소비 증대로 이어지지 못한 이유는 증시 참여자 수가 제한적이기 때문으로 풀이됐다.

중국증권등록결산회사 자료를 보면 중국 증시 투자자는 8900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7% 가량에 불과하다. 그 나마도 절반 가령은 실제 주식을 보유하지 않고 있었다.

반면 갤럽 조사를 보면 미국에서 실제 주식을 보유한 증시 참여자는 금융위기 이전에 전체 인구의 64%에 달했으며 지난해에는 54%로 줄었지만 여전히 절반을 넘는다.

중국인 특유의 투자문화도 작용했다.

모건스탠리의 헬렌 퀴아오 중국경제분석가는 “중국 투자자들은 활황장은 잠시이고, 하락ㆍ조정장은 길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면서 “거래하느라 바쁠 수록 쇼핑으로 돈 쓸 시간은 줄어들 것”이라고 해석했다.

실제 중국의 한 주부는 “쇼핑보다 주식거래가 더 재미있다”고 말했다.

중국 증시가 고공행진 하던 4월에 신차 판매는 1년 새 0.5% 줄어, 3년만에 첫 감소세를 나타냈다. 상하이의 한 고급차 매장에서 만난 고객들은 “신차구입에 돈을 쓰는 대신 주식에 더 투자하겠다”고 응답했다. 반대로 한 온라인 뉴스포털 조사를보면 주식에서 번 돈으로 차를 사겠다고 응답한 비율은 25%도 안됐다.

한편 반대로 주가가 떨어질 때는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예상됐다. 주식 구입의 상당부분이 대출을 통해서 이뤄졌기 때문에 증시가 붕괴하면 빚을 갚기 위해 지출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한지숙 기자/js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