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14일간의 자택격리, 더 해야 하나요?’…뒤늦은 확진판정에 격리자도 이웃도 불안
[헤럴드경제=박혜림 기자]메르스 잠복기인 2주가 지났는데도 뒤늦게 확진 판정을 받는 환자가 잇따라 나타나며, 감염 위험 노출자들에 대한 ‘격리 기간’을 두고 미묘한 기류가 형성되고 있다.

보건당국은 ‘잠복기인 14일간 격리’ 원칙을 고수하고 있지만, 지자체와 경찰은 서로 다른 잣대를 적용해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19일현재 5161명인 자택 격리자들은 ‘14일 이상’ 추가 격리될 수도 있다는 우려로, 시민들은 언제 어디서 잠재적 메르스 확진자와 접촉할지 모른다는 우려로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실제로 전북 순창 장덕마을은 격리 2주가 지난 19일 자정을 기해 격리해제돼 15일만에 ‘자유’를 되찾았다. 

사진=게티이미지

반면, 평택 경찰환자와 접촉한 동료 경찰 13명은 잠복기가 길어질 수 있다는 지적을 고려해 격리기간을 사흘 더 연장키로 했다.

수원시는 이날 격리는 풀되, 모니터링은 연장하는 방안을 내놨다. 메르스 격리 해제자를 능동적 감시자로 분류해 1주일간 모니터링을 연장하겠다는 것이다.

지난 16일 수원시에서 시민 한 명이 최장 잠복기를 지난 뒤 메르스 확진자로 판정을 받는 등 메르스 최장 잠복기인 14일을 지난 18~20일 후에도 확진자가 속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능동적 감시자는 격리 등 활동 제한은 없지만 하루 두 번 보건소에 증상 발현 여부를 전달해야 한다.

이 시민처럼 뒤늦게 확진 판정을 받은 환자는 전국적으로 모두 11명. 보건당국 조사 결과 대부분 잠복기간 안에 증상이 나타난 것으로 확인됐다.

검사가 지연되거나 결과가 바뀌며 확진 판정이 늦어졌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실제 잠복기 이후 증상이 발현된 확진자는 2~3명으로 보이지만, 잠복기가 14일이라는 통념이 깨진 만큼 잠복기 기준을 재검토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불안한 것은 시민들이다. 자가격리자들이 집 밖으로 나온 뒤에도 감염 위험에서 완전히 벗어난 게 아닐 수도 있단 사실에, 언제 어떻게 이들과 접촉할지 모른다는 우려가 적잖다.

경기도 하남시에 사는 유모(27ㆍ여) 씨는 “매일 지하철로 출퇴근을 하는 상황이라 적어도 하루에 두 번은 많은 사람들과 마주할 수밖에 없다”면서 “그 중 뒤늦게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는 사람이 있을 수 있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반면 가족들과도 격리된 채 홀로 시간을 보내야 하는 자가격리자들은 격리기간 연장 가능성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

특히 직장인 격리자들의 경우 정부 지원과 별개로 보름이 넘는 공백에 직장생활에 지장이 생길까 걱정이 클 수밖에 없다.

열흘 넘게 자가격리생활을 하고 있는 A(53) 씨는 “직장인인 남편도 함께 격리 중인데 혹시라도 회사일에 어려움이 있을까 불안하다”면서도 “한편으론 실제 메르스에 감염됐을 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출근을 해야 하는 것도 부담이라 이래저래 걱정”이라고 털어놨다.

보건당국의 입장은 확고하다. 앞서 보건당국은 “기존 연구나 통계 등을 고려했을 때 14일을 최장 기준으로 관리하는 게 타당하다”며 논란을 일축했고, 한 관계자도 헤럴드경제와의 통화에서 “연장 검토는 없다”고 못박았다.

그러나 뒤늦은 확진 판정 등이 이어지며 자가격리자 방역 관리에 구멍이 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런 가운데 일부 지자체에서는 자가격리자들에게 “일단은 2주지만 잠복기 이후에도 증상이 발현되는 일이 있다”는 등 애매한 답을 내놓고 있어 혼란이 적잖을 것으로 보인다.

ri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