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메르스 한달]자고 일어나면 치솟는 격리대상자, 그 통제 여부에 달렸다
-전문가들도 효율성에 대해선 찬반

-다만 “광범위한 조사로 감염차단이 최선” 시각도



[헤럴드경제=김태열 기자]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감염 우려로 격리를 경험한 사람이 1만명을 돌파하고 있다.

보건당국에 따르면 18일 현재 격리 중인 사람은 총 6729명(자가격리자 5857명ㆍ병원격리 872명), 격리가 해제된 사람은 총 4492명으로 메르스 확진자와 접촉해 격리 중이거나 잠복기가 끝난 격리 해제자를 수를 합치면 1만1221명에 달한다.

이처럼 격리 대상자가 계속 증가하는 이유는 잠복기가 지난 사람들 중 확진 환자가 발생하는 상황이 지속되면서 보건당국이 기존의 2m이내 밀접접촉자의 범위를 광범위하게 적용했기 때문이다. 앞으로 그 숫자는 얼마나 증가할지 가늠키 어려운 상황이다.


격리숫자가 이처럼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광범위한 격리조치가 과연 실효성이 있을까라는 찬반양론도 전문가들 사이에서 뜨겁게 달궈지고있다. 방역당국의 관리능력이 한계에 달한 것으로 보여주기식 처방이 아니냐는 것과 지금 상황에서는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시각이 대립한다.

한국의학연구소 여의도센터 신상엽 감염내과 전문의는 “격리라는 것은 정밀한 역학조사를 통해 감염위험이 아주 높은 사람들에게 선별적으로 할때에만 효과를 발휘하는 것인데 지금처럼 확진자와 접촉했던 사람들을 광범위하게 하는 것이 무슨 효과를 발휘할지 의문이 든다”며 “지금의 메르스 상황은 큰 불은 진압하고 잔불을 정리하는 양상으로 보는 것이 맞는데 정부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이 워낙 크다보니 정부가 격리대상자를 대폭 늘리는 등에 대해 전형적인 행정편의주의 발상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격리자가 1만명이 넘어가면 무슨 수로 이들을 효울적으로 관리를 할 것이며 한다고 해도 그게 현실적으로 효율적인가 하는 논리다.

또 다른 감염내과 전문의는 “격리자가 1만명이든 2만명이든 지금 상황은 이미 보건당국 통제 벗어난 상태로 숫자는 광범위하게 늘리더라도 내부적으로는 면밀한 역학조사를 벌여 밀접접촉자 위주의 선별관리가 맞다”고 조언했다.

실제 이처럼 격리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경우 인력 부족 등으로 현장에서의 공무원 1:1 관리는 현실성이 없다는 시각이 많다. 지난 17일 하루만에도 1000여명 가까이 격리 대상자가 늘자 일일이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한지 의문이 제기되는 상황이다. 자가 격리 대상자들이 방역 당국의 지침을 어기고 해외 여행을 떠나려다가 당국에 적발되거나 격리 대상자들이 무단 외출해 경찰까지 동원해 이들을 찾아다니는 소동도 전국 각지에서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 상황은 초기상황과는 다른 양상이므로 광범위한 격리대상자 선정으로 추가확산에 대처하는 것이 꼭 필요하다는 시각도 많다.

이재갑 대한의사협회 신종감염병대응 TF팀 위원장(한림대학교 감염내과 교수)은 헤럴드경제와의 전화통화에서 “격리자의 숫자를 이렇게 광범위하게 늘리는 것에 대해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시각도 있지만 그것은 초기 상황이었을때 맞는 이야기”라며 “지금처럼 광범위하게 3,4차 감염자가 나온 상황에서는 범위를 넓게 잡아 최소한 ‘당신은 메르스 위험이 있으니 조심하라’고 보건당국이 경고라도 해줘야지 그렇지 않으면 불안감에 또 이 병원 저 병원을 돌아다니며 또 다른 감염을 낳는 악순환이 되풀이 될 수 있다”고 햇다. 이 위원장은 또 “또 다른 슈퍼전파자 후보로 거론되는 137번 환자 등에 대해서도 이 사람이 비록 중증 폐렴 등을 앓은 14번 환자같은 케이스는 아니지만 응급실 이송요원으로 암환자 등 면역력이 취약한 많은 환자들에게 접촉한 케이스이기 때문에 이런 관점에서 모든 가능성에 대해 광범위하고 일괄적인 격리조치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본다”고 했다.

kt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