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도심 곳곳 방치된 자전거 도심 흉물로…한해 1만3000대 수거
-수거해도 찾아가는 것은 10대중 2대뿐
-거치대는 녹슬고 바람빠진 자전거 수두룩
-보행 안전 위협…서울시 작년 1만3022대 수거
-분리배출 복잡…폐기절차 간소화 등 서둘러야


[헤럴드경제=최원혁 기자] #. 주말을 이용해 서울광장으로 사이클을 타고 놀러온 최모씨. 서울시청 뒤편에 자전거 보관대가 있다고 해서 자전거를 끌고 왔지만 세워둘 곳이 없었다. 최씨는 “몇몇 자전거는 타이어에 바람이 빠져있고 안장도 없이 일년 넘게 방치된 것 처럼 보였다”며 “체인에 녹이 슬고 자전거 전체에 먼지가 뿌옇게 있어 미관상 보기가 안좋다”고 말했다.

#. 지하철로 출퇴근 하는 직장인 한모씨는 “역 주변 자전거 보관대에 부품이 없이 뼈대만 앙상하게 남은 자전거나 바구니가 달린 자전거엔 쓰레기가 가득해 보기 않좋은데 아무런 조치가 없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국내 자전거 이용 인구 1200만 시대. 자전거 이용인구가 매년 늘어나면서 버려진 자전거 또한 급증하고 있다. 길거리와 자전거 보관대 등에 방치된 자전거들은 도시 미관을 해칠 뿐 아니라 시민들 보행에도 불편을 끼치며 안전까지 위협한다는 점에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6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수거한 방치 자전거는 총 1만 3022대로 전년도 8482대보다 4540대(53.52%) 증가했다. 2012년 5989대와 비교해서는 7033대(117.43%) 급증해 2년새 2배 이상 늘어난 셈이다.

이렇게 급증한 이유는 자전거 이용 인구가 늘어나고 수거지역을 공공장소에서 일반 아파트지역까지 확대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아파트지역에서 수거한 자전거만 3793대였다.

게다가 젊은층들 사이에서 자전거가 유행을 타고 있어 쉽게 싫증내 내다버리고 최신 자전거를 구입하는 이들이 많아진것도 한몫한다.

서울시는 관공서ㆍ공원ㆍ지하철역 등 공공장소 주변 자전거 보관대에 오랫동안 방치된 자전거들을 수거하고 있다.

방치된 자전거는 우선 10일간 처분안내 스티커를 부착하고 기간이 지나면 각 구청마다 보관소로 수거해 간 뒤 10일~15일 정도 보관한다. 그 이후로는 ‘자전거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에 의해 자전거를 매각 또는 재활용 하고 있다.

보관소로 간 자전거 10대 중 한 두대만 찾아가고 나머지 수거된 자전거의 30% 정도는 수리해서 저소득층에 기증을 한다. 지난해에 기증된 자전거의 수는 1425대로 전년도(363대)보다 4배나 늘어났다.

나머지 수거된 자전거의 70%는 고철 매각 처리한 뒤 발생한 수익금은 일년단위로 수거해 온 해당 자치구 통장으로 들어간다. 다만 일년안에 자전거 주인이 찾으러 오면 수익금은 주인에게 되돌려준다.

또 서울시내에 배치된 자전거보관대는 일반ㆍ특수거치대 등을 포함 총 1만 5000대로 한정돼 있다.

그러나 일부 얌체족들은 고의적으로 폐자전거를 보관대에 몰래 버리기도 한다. 이로 인해 보관소를 이용해야 할 시민들은 공간 부족으로 큰 불편을 겪는다.

서울시 관계자는 “정상 절차대로 폐기하려면 생활폐기물로 신청을 하고 4000~5000원의 수거비용이 들 뿐만 아니라 분리배출하는 번거로움 때문에 몰래 방치를 하는것 같다”며 “방치한 자전거 주인을 찾는 것도 쉽지않고 찾아도 처벌규정이 미비해 힘든 실정”이라고 전했다. 이어 그는 “자전거 무단 방치를 막기 위해서는 ‘자전거 등록제’를 의무화하거나 자전거 무상 수리 및 수리 시설 확대, 폐기 절차 간소화 등의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choig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