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검찰 4대수사 ‘정중동’
정동화 등 영장재청구 금명 결정…경남기업·자원외교 수사도 속도
‘成리스트’수사는 진퇴기로에


메르스(MERS) 쇼크가 대한민국 전체를 강타한 가운데 우리 사회 ‘적폐 바로잡기’ 최전선에 있는 검찰 4대 수사(성완종 리스트ㆍ자원외교ㆍ경남기업 워크아웃ㆍ포스코 등 대기업 비리)에서도 몇몇 참고인들의 소환 연기 등 일정 부분 차질이 불가피해지고 있다.

하지만 검찰 측은 이번 사태에 크게 연연하지 않고 ‘정중동 행보’를 계속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11일 검찰에 따르면 포스코 비리를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 조상준)는 정동화 전 포스코건설 부회장에 대해 금명간 구속영장을 재청구할 방침이다. 검찰은 한 차례 영장이 기각됐던 정 전 부회장을 둘러싼 새로운 혐의를 입증하는데 수사력을 집중해왔다.

정 전 부회장에 대한 구속영장이 발부될 경우 정준양 전 포스코 회장 등 ‘윗선 수사’가 탄력을 받을 것으로 관측된다. 반면 이번에도 영장이 다시 기각될 경우에는 포스코 등 기업 수사 전반에 대한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포스코건설이 수주한 베트남 고속도로 공사 과정에서 하도급업체를 통해 약 40억원을 횡령한 혐의 등으로 박모(52) 전 상무를 지난 4월 구속기소한 것을 시작으로 포스코건설 국내외 비자금 조성에 관여한 혐의로 구속된 전ㆍ현직 임원 총 8명을 잇따라 기소했다.

그동안 뚜렷한 외부 움직임이 없던 ‘경남기업 워크아웃 특혜 의혹’과 ‘해외 자원외교 비리 의혹’에 대한 수사도 다시금 시동이 걸리는 모습이다.

우선 경남기업 특혜 의혹과 관련 서울중앙지검 특수 1부(부장 임관혁)는 김진수 전 금감원 부원장보에 대한 구속영장 재청구 여부를 이르면 이번주 안에 결정한다는 방침으로 알려졌다. 이번 의혹의 ‘키맨’으로 꼽히는 김 전 부원장보의 혐의가 입증될 경우 관련 수사도 빠른 진전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특수1부는 캐나다 부실 기업을 인수해 회사에 막대한 손실을 입힌 혐의를 받고 있는 강영원 전 석유공사 사장을 조만간 재소환해 조사할 계획으로 전해졌다.

‘성완종 리스트’ 관련 수사는 진퇴의 기로에 서 있다. 이번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 특별수사팀(팀장 문무일)은 지난 9일 리스트 인사에 포함된 유정복(58) 인천시장과 서병수(63) 부산시장에게 2차 서면질의서를 발송했다. 유 시장과 서 시장은 2012년 새누리당 대선캠프에서 각각 직능총괄본부장과 당무조정본부장을 맡았다.

수사팀은 지난 4일 이들의 1차 답변서를 받았지만 대선 즈음 고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과의 접촉 여부와 친분관계 등에 대한 설명이 불충분해 보강조사 차원에서 추가 질의서를 보낸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검찰과 법조계 안팎에서는 이번 주말께 도착이 예상하는 유 시장과 서 시장의 답변서 검토를 끝으로 2개월에 걸친 수사가 사실상 종료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같은 ‘봐주기 수사’라는 외부 의혹을 불식시키고 수사팀이 두 단체장에 대한 소환 등 새로운 진전이 있을 지 주목된다.


함영훈ㆍ양대근 기자/bigroo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