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수수료 때문에 취소 못하고…”중동경유 해외여행자 발동동
여행업계는 “예정대로 강행”…발병지역 경유 불안감 확산


메르스의 여파로 중동을 경유하는 항공편으로 해외여행을 계획하는 사람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이미 해당지역에 메르스 창궐 이후부터 관련 환자가 1000명 넘게 발생한데다 국내에서 사망환자까지 발생하고 있지만 여행업계는 “정부의 여행 금지조치가 없기 때문에 강행해도 된다”는 입장이다.

여행객들은 수수료 때문에 수백만 원을 들인 여행을 취소하지도 못한 채 답답해하고 있다.

11일 중앙메르스대책본부에 따르면 보건당국은 지난 5월20일부터 공항 게이트에서 중동발 여행자에 대한 1대1 검역을 실시하고 있다.

중동에서 출발하는 비행기에 탑승한 모든 여행객들에게 검역 질문서를 받고 입국한 이후에 증상이 있을 경우 연락처를 안내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검역정책은 중동에서 출발하는 비행기를 타고 해외에 갔다 중동 외 국가에서 국내로 들어오는 여행객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

질병관리본부 핫라인 상담원은 경유 여행 후 여행객에 대한 모니터링이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여행의 경우 개인의 선택문제인 데다, 중동 국가가 여행금지가 된 것도 아니기 때문에 국가가 특별히 나서서 책임질 일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정부가 중동 여행에 대해 특별한 경계를 하지 않기 때문에 여행업계 역시 중동을 경유하는 여행이나 중동관련 여행에 대해 ‘낙타투어’를 취소하는 것 외에는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

외교부의 특별여행경보 발령 조건에는 ‘전염병이 창궐하거나, 재난이 발생한 경우’를 적시하고 있지만, 메르스와 관련해서는 특별 경보를 한 차례도 발령하지 않았다. 때문에 여행업계가 손해를 안고 과잉 대응할 필요가 없는 게 사실이다.

대형업체인 한 국내 여행사 관계자는 “경유하는 시간이 길지 않은 데다 공항에만 있는데 감염이 될 수 없다”고 장담하면서, “정부에서 여행금지 등을 지시한 것도 아니기 때문에 메르스 상황이어도 취소는 일반적인 취소환불의 경우와 똑같이 적용된다”고 말했다.

문제는 중동을 들렀다 중동 외 다른 국가의 항공편으로 입국하는 여행객의 현황이 제대로 파악되지도 않는 상황에서 여행관련 검역을 강화하지 않으면 제2의 메르스 사태는 언제든 재연될 수 있다는 점이다. 중앙메르스대책본부 관계자는 “출입국관리소로부터 해당 정보를 받을 수도 없기 때문에 파악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자 미리 수 개월 전부터 여행을 준비한 여행객들의 걱정은 커지고 있다. 6월 중순 중동 카타르를 경유해 유럽여행을 준비하고 있는 여행객 고모(57ㆍ여) 씨는 “환불할 경우 낸 돈의 절반 정도밖에 돌려받지 못한다고 해 취소하기도 난감한 상황”이라며 “여행사에서는 정부에서 여행금지나 경보를 내리지 않았기 때문에 아무런 일도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호언장담하지만 중동에서 메르스가 발병한만큼 불안한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서지혜 기자/gyelov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