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메르스 전화 신고부터 하라더니…황당한 핫라인
“질병관리본부→보건소→의료기관→보건소…” 무한반복 핑퐁 떠넘기기. 형식적 상담 그쳐



[헤럴드경제=최진성ㆍ서지혜 기자] “연락이 가지 않았으면 메르스가 아닙니다(질병관리본부 핫라인) “당직자 밖에 없어요”(보건소)

전주말 고열 증상에 혹시나 중동호흡기증후군(MERSㆍ메르스)에 감염된 것이 아닌가 애태운 한 시민이 메르스 의심 신고를 하자 되돌아온 답이다.

소관이 아니라며 ‘전화 떠넘기기’에 급급한 공무원들의 고질적인 행태는 메르스 대응에서도 답습됐다.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을 제때 받지 못하는 보건소도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에는 역부족이다. 시민들의 정부에 대한 불신에 메르스 공포는 커질수 밖에 없다.

8일 보건복지부와 서울시에 따르면 복지부는 메르스 핫라인(043-719-7777)을 통한 상담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서울시도 120다산콜센터와 119응급전화를 비롯해 메르스 핫라인 11개 회선을 운영하고 있다.

보건당국은 의심 증상이 있으면 일단 전화 신고부터 하라지만, 정작 정부와 서울시의 ‘핫라인’은 사실상 불통 상태로 별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서울시민 A(32ㆍ여)씨는 휴일인 지난 7일 오전 아버지가 급작스런 발열 증세를 보이자 질병관리본부 핫라인으로 연락해 메르스 증세 여부를 물었다. 하지만 상담원은 “메르스라고 연락이 가지 않았나요? 그러면 메르스가 아니니 보건소로 연락하세요”라고 어이없는 답을 늘어놨다.

서울시의 대응도 엉성하긴 마찬가지. A씨는 서울시 콜센터를 통해 인근 보건소로 연락했지만, ‘대기자가 많다’는 자동응답 안내만 30분 가까이 반복했다. 겨우 연락이 닿은 후에 들은 답은 “지금은 당직자밖에 없어 상담을 할 수 없으니 인근 의료센터로 연락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사진설명=보건당국은 의심 증상이 있으면 일단 전화 신고부터 하라지만, 정작 정부와 서울시의 ‘핫라인’은 사실상 불통 상태로 별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헤럴드경제DB사진]

A씨는 2시간 가까이 ‘핫라인→보건소→119→의료기관’으로 전화를 반복해서야 겨우 주말 진료가 가능한 소형병원을 찾을 수 있었다.

막상 방문한 병원도 “월요일 오전에 대형 병원이나 보건소로 가라”고 말했다. 결국 정부나 지방자치단체, 보건소 어느 한곳도 A씨를 도와주지 못한 셈이다.

이에 대해 한 자치구 관계자는 “서울시가 사전 협의도 없이 메르스 확진환자를 공개하는 바람에 검진은 물론 상담 준비조차 갖추지 못한 보건소가 태반”이라고 설명했다.

당국의 부실한 대응은 고스란히 시민의 피해로 이어진다. A씨는 “동네병원에서 가라고 조언해준 대형 병원은 메르스 확진 환자가 경유한 ‘감염 병원’이었다”며 “정부나 서울시 모두 믿을 수 없다”고 토로했다.

ip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