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700조원’ 中 홈인테리어 시장 잡아라…글로벌 ‘군웅할거’ 상하이 국제 주방 욕실 박람회 가보니
-‘세계 최대 규모’ 상하이 국제 주방 욕실 박람회…30만㎡, 4000여개 업체 참가

-디자인ㆍ첨단기술ㆍ친환경…3대 키워드




[중국 상하이(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 ‘세계 최대’ 700조원 규모의 중국 홈인테리어 시장을 두고 글로벌 업체들이 정면 충돌했다. 활황 중인 건설 경기를 타고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 홈인테리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글로벌 업체들은 ‘디자인ㆍ첨단기술ㆍ친환경’으로 무장한 제품을 앞다퉈 내놓았다.

지난 3일(현지 시각) 개막해 오는 6일까지 나흘간 중국 상하이 신국제전시장에서 열리는 ‘2015 상하이 국제 주방 욕실 박람회’에는 LG하우시스, IS동서 등 국내 4개 업체를 비롯해 미국의 욕실 제품 제조업체 콜러(KOHLER), 일본의 토토(TOTO) 글로벌 4500여개 인테리어 관련 업체가 참여했다. 특히, 실내외 30만㎡ 규모의 행사장에는 13만2000여명의 해외 바이어와 중국 소비자 등이 17개로 이뤄진 홀을 가득 채웠다.

이번 박람회에서는 특히, 중국 시장에서의 홈인테리어 트렌드가 그동안 기능만이 강조된 것에서 간결한 북유럽풍의 현대적인 디자인과 첨단기술을 활용한 개성 강조, 에너지 절감 등 친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국 욕실업체 중 세 번째로 규모가 큰 띠왕지에쥐(monarch)의 추에짜이웨이(40) 마케팅부장은 “이전까지 중국인들은 기능 중심의 인테리어 제품을 고르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지만 최근에는 외관과 장식이 강조된 개성있는 제품을 고르는 경우가 많아졌다”고 말했다. 

실제로 전시회에 참석한 중국 소비자들 역시 최근 한국에서도 유행하고 있는 간결하면서도 현대적인 느낌의 욕실ㆍ주방 가구 앞에 몰렸고, 사용자의 키에 맞춰 자동으로 선반이 내려오도록 설계한 찬장 등의 첨단 기술이 접목된 개성있는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홈인테리어에 대한 관심이 높은 만큼 상하이 국제 주방 욕실 박람회에서는 해외 건축자재 수입업체, 건설 시공자 관계자 및 중국 일반 소비자들이 새로운 인테리어 트렌더를 살피고, 현장에서 계약도 바로 진행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발감회에서 맺은 계약 규모는 내수와 수출을 포함해 총 111억6400만위안(약 1조9000억원)에 이른다.

이처럼 중국 홈인테리어 시장이 큰 규모로 성장하고 있는데는 이촌향도 현상이 크게 발달하면서 건설 경기가 활기를 띄고 있고, 중국 부동산가 역시 실내 인테리어의 가치에 따라 가격이 크게 차이가 나는 것도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번 박람회에 참석한 국내 유명 가구업체의 한 고위급 관계자는 “중국의 경우 실내 인테리어 수준에 따라 같은 넓이, 구조의 아파트 아파트 가격이 4억원 가량 차이가 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realbighea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