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단독] 메르스 중동 퍼진 3년간 관련 지역 여행경보 0건…외교부, 뒤늦게 “검토중”

외교부가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창궐 이후부터 현재까지 약 3년간 환자가 1000명 넘게 발생하고 수백명이 숨진 중동 지역에 대해 메르스 감염 주의를 당부하는 여행경보를 단 한 차례도 발령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질병 관리에 대한 보건ㆍ외교 당국의 총체적 무능을 보여주고 있다는 지적이다.

외교부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해외 출국자에게 목적지 국가의 위험 정도를 알리는 ‘여행경보’와 ‘특별여행경보’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경보는 여행유의, 여행자제, 철수권고, 여행금지 등 4단계, 특별경보는 주의보와 경보 등 2단계로 나뉜다.

이것은 해외로 나가는 우리 국민이 목적지 국가의 위험성과 관련해 정부로부터 제공받는 거의 유일한 공식 정보다.

그러나 외교부에 따르면 당국은 메르스가 최초 창궐한 시점인 2012년부터 지금까지 3년여간 1100명이 넘는 환자와 450명이 넘는 사망자가 발생한 중동 지역에 대해 메르스 관련 경보를 단 한 차례도 발령하지 않았다.

외교부는 중동의 다른 국가는 물론 1002명의 환자, 442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메르스 요주의 국가인 사우디아리비아에 대해서도 메르스와 관련해 가장 낮은 수준인 경보인 여행유의조차 국민들에게 알리지 않았다.

외교부는 경보를 발령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메르스로 경보를 발령한 다른 나라 사례가 없던 점, 중동 지역에 3차 감염은 없다고 알려졌던 점” 등을 들었다.

불확실한 정보를 토대로 경보 발령 여부를 판단한 것이다.

외교부는 특히 “메르스가 3∼4월에 집중되는 계절병으로 알려져 있던 탓에 경보 대신 홈페이지를 통한 안내문만 올렸다”고 말했다.

하지만 외교부 스스로 밝히고 있는 제도 규정에 비춰보면 이 같은 해명조차 변명에 가깝다는 지적이다.

외교부는 ‘특별여행경보’ 발령 조건으로 ‘전염병이 창궐하거나, 재난이 발생한 경우’ 등이라고 적시하고 있다.

실제 외교부는 지난해 8월 에볼라가 발생한 라이베리아와 시에라리온, 기니 등 3개국에 특별여행경보를 내린 바 있다.

이번 메르스와 관련해선 앞서 말한 이유 등을 들어 경보는 물론 특별경보도 단 한 차례 발령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일각에선 외교부가 지난 3월 박근혜 대통령의 이른바 ‘중동 발언’에 휩쓸려 청와대 눈치를 보다 경보 발령 시기를 놓친 것 아니냐는 의심도 던지고 있다.

이처럼 정부가 해외 안전 정보를 오락가락 제공한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이 떠안을 수밖에 없다.

한 여행 업체 관계자는 “해외 국가의 질병 문제는 여행사 각자가 현지 주재원과 인터넷 검색을 통해 손님에게 알려주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외교부 관계자는 이미 국내 환자가 수십명 발생한 지난 2일 기자와의 통화에서 “중동 국가들에 대한 여행경보 발령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지웅 기자/plat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