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양천자원회수시설 가동 20년…혐오시설서 주민지원시설로 탈바꿈
[헤럴드경제=최원혁 기자] 건설 당시 혐오시설로 인식돼 주민들의 반대로 어려움을 겪던 서울 양천자원회수시설(쓰레기 소각장)이 가동된 지 올해로 20년이 됐다.

서울에는 양천자원회수시설을 비롯해 노원(1997년 가동 시작)과 강남(2001년), 마포(2005년) 등 4곳에 자원회수시설이 있다.

1일 서울시에 따르면 가동 20주년을 맞은 자원회수시설은 혐오시설에서 주민지원시설로 탈바꿈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서울시는 자원회수시설 영향권 300m내 주민에게 난방비의 70%와 아파트 관리비 등을 지원하고 있다.

자원회수시설의 영향권에 있는 가구는 총 1만2537가구로 이들에게 20년간 1641억원이 지원됐다.

그 재원은 자원회수시설로 반입되는 폐기물 수수료의 10%를 적립하고, 시설을 공동이용하는 자치구의 특별출연금을 모아 마련한 주민지원기금이다.

자원회수시설은 수영장과 헬스장, 독서실 등 주민편익시설도 운영하고 있다. 시설 영향권 주민에게는 이용료가 20∼50% 할인된다.

서울시는 주민감시요원들이 생활폐기물의 성질과 상태를 감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총 23명의 주민감시요원들은 음식물 쓰레기나 재활용품이 많이 섞인 생활폐기물을 반입하는 수집운반업체에 경고나 반입정지 명령을 내릴 수 있다.

2000년부터는 매년 주민건강영향 조사를 해 지역주민의 혈중 다이옥신과 중금속 농도도 검사하고 있다.

서울시는 현재까지는 자원회수시설로 인한 특별한 영향은 없다고 전했다.



이인근 서울시 자원순환과장은 “주민과의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시설을 안정적으로 관리해 오염물질 배출을 최소화하고 지역주민에게 도움주고 신뢰받는 자원회수시설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choig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