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韓ㆍ美ㆍ日 ‘대북압박’ 한 목소리…中 ‘시큰둥’
[헤럴드경제=양영경 기자] 황준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대북 압박ㆍ제재 기조를 내걸고 방중해 29일 귀국한 가운데, 중국 측에서는 ‘불핵불용’의 원칙에 다시 한 번 힘을 실어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는 중국의 원칙적인 입장만 재확인한 것이나 다름없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황 본부장은 한ㆍ중 북핵 수석 회동을 앞두고 중국의 역할을 강조한 바 있다. 출국 직전까지도 “북핵ㆍ북한 문제와 관련해 중국과 긴밀히 소통할 필요가 있다”면서 “북한정세가 불확실하다거나 핵능력이 계속 고도화 되고 있다는 것에 대해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며 북핵문제와 관련해 중국이 한 몫 해주길 기대하는 모습을 보였다. 

황준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성 김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사진=외교부]

중국 현지에서 황 본부장은 중국 측 6자 회담 수석대표인 두아웨이 우다웨이(武大偉)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와 회동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한국 측은 북한에 대해 억지ㆍ압박ㆍ대화의 세 가지 방법을 총동원하는 과정에서 중국이 적극적인 역할을 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이에 대해 중국은 북핵불용, 핵실험 장거리 미사일 발사 시험 등 전략적 도발 반대 에 공감을 나타낸 것으로 전해졌다. 이어 안보리 결의의 엄격한 이행, 전제조건 없는 탐색적 대화 계속 추진, 핵동결 및 IAEA(국제원자력기구) 영변 복귀, 비핵화 초기조치의 조속한 시행 필요성 등에도 한국 측과 같은 목소리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원칙적인 입장에 불과하다는 게 외교가의 시각이다.

특히 한ㆍ미ㆍ일이 최근 북한의 도발로 인해 ‘탐색적 대화’ 추진에서 대북 압박 강화로 선회하자 중국은 북한의 입장을 고려해 신중한 태도로 임하고 있다는 해석이다. 동시에 중국이 한ㆍ미의 동시 중국 방문에도 불구하고 한ㆍ중, 미ㆍ중 양자회동 외에 3자 회동을 갖지 않은 것 역시 중국의 신중한 태도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an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