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의 오만?…‘사드 안보주권’ 이어 ‘탄저균 보건주권’ 침해 논란
[헤럴드경제=신대원ㆍ양영경 기자] 미국이 탄저균 배달사고와 관련해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어려운 태도를 보이고 있다.

‘공포의 백색가루’로 불리는 탄저균은 높은 전염성과 95%에 달하는 치사율로 생물학전과 생물무기 테러에 악용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병원체로 꼽힌다.

도심지 상공 위로 저공비행하면서 탄저균 100㎏을 살포할 경우 100만명 이상이 사망할 정도로, 1메가t급 수소폭탄의 살상력과 맞먹는 규모라는 평가도 있다.


하지만 미국은 군 연구소인 더그웨이 생화학병기시험소에서 살아있는 탄저균을 미국 내 9개주 18개 연구소와 함께 한국의 오산 공군기지에 전달하면서 한국측에 통보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미 언론 보도에 따르면, 더그웨이 생화학병기시험소는 지난해 3월부터 1년이 넘도록 살아있는 탄저균을 다른 연구소에 전달해왔는데 오산 공군기지에는 언제, 어떻게, 얼마나 전달됐는지조차 파악되지 않는다.

더욱이 오산 공군기지로 배달된 탄저균은 민간운송업체인 페덱스(FedEx)를 통해 배송된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더하고 있다.

주한미군측이 ‘적절한 의료예방조치가 취해졌다’고 밝힌 22명의 실험요원은 차치하더라도 배송과정에 관여했을 장병과 민간인의 안전을 우려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미국은 한국측에 충분한 설명 없이 살아있는 탄저균으로 인한 피해가 없다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다.

이와 관련, 레이먼드 오디어노 미 육군참모총장은 “현재까지 조사결과로는 탄저균 표본의 선적이 규정에 따라 진행됐고 이후 과정에서도 인간적인 실수가 없었다”면서 “이번 사고로 위험에 빠진 사람이 없다는 것을 99.9% 확신한다”고 주장했다.

주한미군측도 미 국방부가 미국 내 연구기관과 오산 공군기지에 살아있는 탄저균을 실수로 보내 조사중이라고 발표한 이후에야 문제의 탄저균 표본을 처분했다며 일반인들에게는 어떤 위험도 노출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한국 국민에게 치명적 위협이 될 수 있었던 살아있는 탄저균이 반입된 경로나 규모, 폐기방법 등은 생략돼 보건 주권 침해라는 지적이다.

미국의 이 같은 행태는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인 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 압박과 맞물려 국민감정을 자극하는 양상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주한미군은 지난해 천문학적 비용과 방대한 면적을 필요로 하는 사드 배치 후보지 5곳에 대한 실사를 진행했지만 한국측에 어떠한 통보도 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불평등 논란이 끊이지 않았던 주한미군 주둔 지위협정(SOFA) 문제도 재부각되는 양상이다.

사드 배치 후보지와 관련해서는 SOFA에 의해 미국이 주한미군기지 영외 부지 공여를 요청하면 우리로서는 부지를 제공할 수밖에 없다.

탄저균 역시 SOFA 9조에서 ‘합중국 군대에 탁송된 군사화물’ 등에 대해 세관 검사를 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고, 26조에서는 미군측이 격리대상 질병이 발견되지 않았다는 확인서를 한국측에 ‘분기별’로 제출하도록 돼있어 이번 사건의 경우 미국에 책임을 묻기 어렵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