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국내 최초 전기발전터, 경복궁 영훈당 터에서 확인
[헤럴드경제=신수정 기자]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강순형)는 경복궁 흥복전 권역 영훈당 터 일대에서 우리나라 최초의 전기발전소 터를 발견했다고 27일 밝혔다.

문화재청은 지난해부터 경복궁 흥복전 일대를 조사해왔다. 영훈당은 경복궁 흥복전과 향원지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내각회의와 경연, 외국 공사 접견 등 왕의 편전으로 사용되던 흥복전의 부속 전각이다. 영훈당은 고종 재위 기간에 건립됐지만, 일제강점기인 1917년 화재로 소실된 창덕궁을 중건하기 위해 경복궁 내 여러 전각을 헐어낼 때 흥복전 등과 함께 철거됐다.

조사 구역 전경

그동안 전기등소(電氣燈所)는 경복궁 내 향원지 북쪽과 건청궁 남쪽 사이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번 조사를 통해 전기등소의 위치는 향원지 남쪽과 영훈당 북쪽 사이에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곳에서는 원료인 석탄을 보관하던 탄고와 발전소 터 등 1887년 우리나라 최초로 세워졌던 전기등소 유구가 확인됐다. 아울러 아크등(arc lamp)에 사용됐던 탄소봉, 연대(1870년)가 새겨진 유리 절연체 등 전기 관련 유물도 출토됐다.

조선 왕실은 미국 신문물을 시찰하고 온 사절단의 건의에 따라 1884년 에디슨 전기회사와 전등설비를 위한 계약을 맺었다. 1886년 11월 미국인 전등기사 매케이(McKay)를 초빙해 이듬해 1월 우리나라 최초의 전기등소를 완공했다. 발전 규모는 16촉광(1촉광은 양초 1개의 밝기)의 백열등 750개를 점등할 수 있는 수준으로 알려졌다.

최초 점등일은 1887년 1~3월경으로 추정된다. 건청궁 내 장안당과 곤녕합의 대청과 앞뜰, 향원정 주변의 등을 밝혔다. 당시 향원지에서 물을 끌어올려 전기를 생산해 ‘물불’이라 불렸다. 불안정한 발전 시스템 탓에 건달꾼처럼 제멋대로 켜졌다 꺼졌다 한다 하여 ‘건달불’이라고도 불렸다.

전기등소 터 전경

한편 영훈당 터에서는 영훈당 본채와 함께 부속 행각지 등 건물지 6동이 확인됐다. 이번에 조사된 영훈당의 칸 수와 용도는 ‘궁궐지’와 ‘북궐도형’의 기록과 일치한다. 본채를 중심으로 동서남북 행각이 서로 잇닿은 ‘일(日)’자형의 평면 형태를 보이고 있다. 내부에서는 각 칸의 용도를 알 수 있는 아궁이와 구들시설 등이 확인됐다. 외부에서는 기단시설, 담장지, 배수(排水)와 배연(排煙) 시설 등의 부속 시설이 확인됐다.

전기 관련 유물

문화재청은 “이번 발굴조사를 통해 전기등소의 정확한 위치가 규명됐고, 백열전구가 아닌 아크등이 사용된 흔적이 확인됨에 따라 앞으로 우리나라 전기 발전사의 연구에 있어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이번 조사 결과는 문화재청에서 추진 중인 ‘경복궁 복원정비계획’에 따른 경복궁의 원형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로도 활용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ssj@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