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음성무제한, 데이터에 따라 과금…‘데이터요금제’ 시대 왔다
[헤럴드경제=이형석 기자]KT와 LG유플러스에 이어 이동통신시장 1위 사업자인 SK텔레콤이 19일 합류함으로써 국내 통신 시장에 데이터중심요금제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렸다. 2만원대 최저 구간에서는 음성통화를 무제한으로 쓸 수 있고 그 이상에서는 기본 제공 데이터에 따라 요금이 부과되는 제도다.

미래창조과학부는 19일 SK텔레콤의 ‘밴드(band) 데이터 요금제’를 인가함으로써 ‘데이터 중심 요금제’ 개편 작업이 일단락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미래부는 올해 초부터 이통사들과 협의를 추진함으로써 당초 2017년까지 도입을 목표로 했던 ’데이터 중심 요금제’를 2년 앞당겨 도입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가입자당 월평균 음성통화 및 데이터트래픽추이

미래부는 데이터중심요금제의 조기 도입으로 기존 음성 무제한 요금이 5만1천원에서 2만9900원으로 인하돼 음성 위주 이용자들의 통신비가 연간 최대 7천억원이 절감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또 이번에 이통3사가 출시한 요금제는 음성 요금을 대폭 낮추면서도 데이터 요금은 올리지 않고 현재와 같거나 소폭 인하했다고 밝혔다. 특히 이통3사 모두 6만원 초반대인 데이터 무제한 요금의 시작구간에서 250~2100원 인하효과가 있고 데이터 당겨쓰기 및 이월하기 등으로 연간 1287억원의 통신사 낙전수입 감소효과가 있다고 전했다.

데이터요금제 음성 무제한 인하효과

해외 이통사의 요금과 비교해도 대부분의 요금구간에서 국내 데이터중심요금제가 훨씬 저렴하다는 것도 미래부의 설명이다. 예를 들어 30GB 데이터 이용 시 미국 통신사 AT&T는 28만원이고 구글은 34만원인데 반해 국내 가입자들은 9만 9천원만 부담한다. 데이터 1GB 당 가격은 국내의 경우 약 3천∼6천원(데이터 무제한 요금 제외)이며 미국 버라이즌은 2만∼8만2500원, 일본은 7500∼1만5천원, 구글은 1만1천원이라고 미래부는 비교 자료를 내놨다. 

약정 폐지로 인한 통신비 인하효과

이와 함께 이통3사 모두 약정 없고, 위약금 없는 요금체계를 전면 도입해 약정을 하지 않아도 요금은 과거와 같이 2년 약정 할인된 수준으로 제공한다. 약정 부담 때문에 무약정으로 높은 요금을 부담해 온 230만여명에게 연간 약 3600억원의 통신비 절감 혜택이 기대된다고 미래부는 밝혔다. 

해외 통신사와의 데이터요금 비교

이 밖에도 미래부는 ‘무선인터넷전화(m-VoIP)’ 전면 허용으로 국제전화를 많이 쓰는 가족들의 통신비 부담도 완화될 것으로 기대했으며 ‘단말기 지원금에 상응하는 요금할인 20%’가 함께 적용될 경우, 절감효과는 더욱 클 것으로 봤다.


su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