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삼성전자 ‘실리콘밸리 밀착전략’ 잰걸음
3만5000㎡ 규모 마운틴뷰 신사옥 부지 매입완료
미국내 연구개발·전략혁신 메카로


미국 실리콘밸리의 도전과 혁신정신을 사내로 이식하기 위한 삼성전자의 현지 밀착 행보가 한 걸음 더 전진했다. 삼성전자가 최근 미국 전역에 흩어져 있던 연구 및 전략혁신 인프라를 집결한 마운틴뷰 신사옥의 부지를 거액에 완전 매입 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향후 실리콘밸리 전역을 잇는 삼성전자의 추가 생태계 조성 여부에도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12일 관련 업계 및 현지 부동산 시장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최근 미국 샌프란시스코 실리콘밸리 인근의 마운틴뷰 신사옥 부지 3만5000㎡(약 1만평)를 전부 사들였다. 이 부지에는 6층 규모의 건물 2동과 주차장 등 편의시설이 위치해 있다. 이들 시설의 연면적만 무려 38만5000㎡(약 11만6500평)에 달한다. 정확한 매입가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현지 시세를 미루어볼 때 삼성전자가 전체 단지 구입에 투자한 금액은 총 2억5000만달러(약 27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리콘밸리 마운틴뷰 신사옥은 삼성전자가 지난 2013년 10월에 착공한 일종의 미국 내 연구개발(R&D) 및 전략혁신 메카(Mecca)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지난 2월 전자계열 주요 사장단과 함께 이곳을 직접 찾은 뒤, 미국 전역에 흩어져 있던 삼성리서치아메리카(SRA), 전략혁신센터(SSIC), 오픈이노베이션센터(OIC) 등 17개 연구소와 씽크탱크팀을 한 데 모은 바 있다. 연구조직 간 협업증대와 주변 혁신기업과의 개방촉진을 위해서다.

삼성전자는 처음 마운틴뷰 신사옥 건립을 검토했던 2012년에는 이 부지를 15년간 장기임대 방식으로 사용하기로 했지만, 약 3년만에 계약에 포함됐던 매입 옵션을 사용해 부지를 매입했다.

이에 따라 업계 일각에서는 삼성전자가 향후 현지 시설의 규모를 더욱 키워 일종의 ‘삼성타운’ 생태계를 조성하려는 것 아니냐는 추측도 나온다. 이 부회장이 지난해부터 수차례 ‘실리콘밸리발(發) 기술혁명’을 강조해오고 있어서다.

실제 삼성전자는 현재 인근 새너제이에도 대규모 반도체 부문 연구개발(R&D센터)를 짓고 있으며, 마운틴뷰에는 향후 삼성전자와 구글, 링크드 인, 인튜이트 등 글로벌 기업을 잇는 ‘통합 교통 시스템’도 들어설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마크 케첼 SRA 부사장은 매입 관련 공식 코멘트에서 “실리콘밸리 지역사회의 일원으로서 직원들에게 최고의 업무 환경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슬기 기자/yesyep@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