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위기’수출한 선진국, ‘위기’ 수입한 신흥국…엇갈리는 희비
[헤럴드경제=문영규 기자]선진국들이 위기를 수출해 위기를 벗어나면서, 위기를 수입한 신흥국들이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서브프라임 사태의 미국, 재정위기의 유럽, 장기불황의 일본이 모두 돈을 찍어내는 양적완화(QE)로 경기회복의 물꼬를 텄지만, 선진국이 찍어낸 돈이 대거 유입된 신흥국들은 이제 선진국들의 양적완화 종료에 따른 자본이탈 위험에 직면하고 있기 때문이다. 선진국들은 신흥시장 투자수익과, 수출경쟁력 강화의 결실을 얻었지만, 신흥국들은 금융시장 불안과 수출경쟁력 약화의 짐만 지게 됐다. 이 때문에 신흥국들도 적극적인 통화정책으로 선진국 자본이탈과 환율방어에 나서고 있지만 신흥국 화폐는 국제시장에서 영향력이 약해 제 효과를 누리지 못하는 모양새다. 우리나라의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에서 주목할 상황이다.

[사진=게티이미지]

▶‘눈에는 눈, 이에는 이’, 중ㆍ러 맞불=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10일 경기하방 위험과 위안화 위상제고를 위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하기로 했다. 지난해 11월과 올해 3월에 이어 6개월 동안 3번의 금리인하 조치다. 양적완화로 선진국들이 수출경쟁력이 회복되면서 상대적으로 중국의수출경쟁력은 약화됐다. 수출주도의 중국 경제에서 이는 곧 경기부진으로이어졌다. 경기를 촉진하고 수출경쟁력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위안화절하효과가 필요하다. 특히 미국 금리인상이 임박하면서 해외자본의 대(對) 중국 투자매력을 끌어올리기 위한 선택이기도 하다.

지난해 말 기준금리를 최대 17%까지 끌어올렸던 러시아 중앙은행은 지난달 말 기준금리를 14%에서 1.5%포인트 인하한 12.5%로 결정했다.

[사진=게티이미지]

1~2월 평균 3.1%였던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3~4월에는 평균 1.0%로 하락했고, 실업증가와 반(半) 고용 상태 확산 등으로 인해 주민들의 실질소득이 감소한 데 따른 대책이다.

높은 경제 불투명성으로 기업들의 경영악화, 대출조건악화 등이 현실화돼투자 위축을 초래하고, 내수위축이 수입감소로까지 이어지는 등 전반적 경기 침체를 막기 위해서다.

중국과 러시아는 연내 추가적인 금리인하 또는 완화적 통화정책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사진=게티이미지]

▶“당해 봐서 안다”...유비무환 브라질ㆍ인도=선진국의 양적완화에 맞불을 놓는 중국과 러시아와 달리 브라질은 금리인상으로 방패를 구축하고 있다. 지난달 말 브라질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13.25%로 0.5%포인트 인상했다. 2009년 1월 이후 최고치다.

브라질은 이미 2013년 5월 버냉키 쇼크(미국의 양적완화 중단 방침 시사)로 선진자본의 급격한 이탈을 겪었다. 이는 결국 헤알화 가치 하락과 이에따른 인플레이션으로 나타났다. 설상가상으로 국내정세 불안, 부패 스캔들 등이 투자자들의 투자심리까지 위축됐다. 재정부담을 감수하고서라도 환율 및 물가안정을 위해 금리인상이라는 고육책을 펼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사진=게티이미지]

인도 역시 이미 급격한 선진국 자본유출 현상을 겪고 있다. 특히 국제유가가 상승하면서 에너지 대외의존율이 높은 인도의 무역적자가 심화되고, 그리스 사태를 우려한 글로벌 투자자본들이 자산을 회수한 데 따른 현상이다.

이 때문에 인도중앙은행(RBI)는 1월과 3월, 2차례 금리인하를 단행 기준금리를 8%에서 7.5%로 내렸지만 현재는 2개월째 금리를 동결 중이다. 자본이탈 전에는 금리인하로 인한 경기부양이 효과가 있지만, 일단 자본이탈이 발생한 다음에는 루피 가치 하락에 따른 금리인상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도는 브라질과 마찬가지로 버냉키 쇼크로 급격한 환율상승을 경험했다. 이후 다시 조금씩 안정세를 찾았으나 지난해 QE 축소가 현실화되면서 지금까지 꾸준히 약세를 보이고 있다.

yg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