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넘치는 현금, 배당ㆍM&A 준비… 美 기업들 1조7000억달러 현금 축적
[헤럴드경제=문영규 기자]미국 주요 기업들이 보유한 현금자산이 1조7300억달러(약 1885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미 기업들이 배당금 지출, 자사주 매입, 기업 인수합병(M&A)에 필요한 자금을 모으기 위해 채권시장 문을 두드렸고, 기업세 부담으로 인해 해외 수익을 본국에 가져오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 금융정보서비스회사 무디스에 따르면 미국 기업들의 현금 보유액은 1조7300억달러로, 이들 가운데 상위 5개 기업인 애플,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파이저, 시스코 등이 보유한 현금은 전체 4분의 1에 이르는 4390억달러(약 478조원)에 이른다고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금융분야를 제외하고 지난해 기업들의 현금자산은 4% 증가했으며, 애플은 10년 연속 현금 보유액이 가장 많은 기업으로 기록됐다. 상위 50개 기업이 가진 현금은 1조1000억달러에 달했다.

기업들은 막대한 세금을 피하기 위해 현금을 해외로 돌렸다. 해외에 예치한 돈은 전체 현금의 64%에 해당하는 1조1000억달러였다. 이는 지난해 57% 수준이었던 9500억달러보다 1500억달러 증가한 것이다. 여러 기업들 가운데 기술 및 헬스케어(의료보건) 분야가 해외에 가장 많은 돈을 갖고 있었다.

기업들이 법인세 부담으로 인해 본국으로 현금을 가져오지 않는다는 분석이다. 미국 기업들이 해외 수익을 본국으로 들여오는데에는 35%의 법인세가 부과된다.

무디스의 리처드 레인은 “미국 기업들이 해외 자금을 영구히 본국으로 돌릴 수 있도록 장려하게 만드는 법인세 개혁이 더디게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골드만삭스 역시 올해나 내년까지도 세제 개혁이 이뤄지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 내 저금리 기조도 해외 현금 증가에 한 몫 하고 있다.

대신 오라클, AT&T, 애브비, MS 등의 기업들은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인상을 앞두고 채권시장에서 수십억달러 규모의 채권을 발행해 현금을 마련했다. Fed의 금리 인상이 현실화되면 이같은 상황도 바뀔 수 있다고 FT는 전망했다.

또한 투자자들의 배당금 인상, 자사주 매입 등의 주주환원 요구가 있을수도 있어 기업들의 현금마련에 더욱 속도가 붙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기업들은 올해 배당금 등에 1조달러를 쓰기로 했다.

M&A도 기업들의 현금 보유량 증가 이유로 꼽혔다. 빠르게 성장하는 업계의 경우 합병에 대한 경영진들의 열의가 높아지면서 M&A가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금융정보업체 딜로직에 따르면 올해 M&A는 모두 1조4000억달러 규모로 전년동기 대비 26% 증가했다.


yg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