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장에서-조동석]光州시의‘반값 임금’제안
빛고을 광주(光州)의 도전이 신선하다. 아니, 절실하다는 표현이 더 어울릴지 모른다.

윤장현 광주시장의 제안은 ‘완성차 공장 유치를 위한 4000만원 수준의 임금’. 현재 국내 완성차 생산직 1인당 연봉이 9000만원인 점을 감안하면 ‘반값 임금’에 해당된다.

윤 시장도 그럴것이 국내외 기업들은 한국 투자를 꺼리고 있어, 지자체가 새로운 일자리를 만드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청년 실업난은 기존 대기업ㆍ정규직의 과보호가 주요 원인이라고 경영계는 분석하고 있다. 이 때문에 청년들에게 돌아갈 일자리가 없다는 의미다.

사정이 이런 가운데 광주시가 내놓은 ‘반값 임금’은 매우 파격적이다.

최근의 상황을 보자. 한 중견기업인은 “우리는 (비용이) 싼 곳을 찾아 (해외로) 나갈 수밖에 없다”고 잘라 말한다.

외국인들이 한국을 바라보는 첫 인상 중 하나는 여전히 ‘강성노조’다. 제조업 공동화(空洞化)는 불가피하다. 고비용, 투쟁 일변도 노조는 기업들에게 큰 부담이다.

일자리 창출이 중앙정부는 물론 지방정부의 핵심 정책이 된지 오래다. 더욱이 자동차만큼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산업도 없다.

수천의 부품업체와 정비업체 그리고 판매조직에다 지역상권 활성화 등까지 기대되기 때문이다.

반값 임금을 통해 공장을 유치하면, 투자에 따른 고용 창출과 소비 활성화에 이은 또다른 신규투자라는 청사진을 광주시는 그리고 있을 게다.

빈사상태에 빠진 국내 제조업에 부활의 기회를, 침체된 지역경제에 활력소가 되면서 기업과 지자체가 윈윈할 수 있다.

더욱이 자동차 시장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반값 임금은 자동차 업계의 돌파구가 될 수 있다.

반값 임금이 실현될지는 미지수다. 우선 ‘동일 노동, 동일 임금’에 위배된다.

상급단체(민주노총 금속노조)가 승인해야 한다.

현실성이 다소 떨어지더라도, 일자리 창출을 위한 광주시의 제안이 눈길을 끄는 이유는 무엇일까.

dsch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