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우디 국왕, 방미 급취소…오바마 만남에 왕세자 대신 보내
[헤럴드경제 =한지숙 기자]강력한 동맹국인 미국과 사우디의 관계에 금이 가고 있다.

살만 빈 압둘아지즈 사우디아라비아 국왕이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다음주에 미국에서 주재하는 걸프 6개국 정상과의 만남 자리에 불참을 통보,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중동 내 이란의 영향력 확대, 수니파 이슬람 무장세력 ‘이슬람국가(IS)’ 격퇴전에서 시아파 민병대를 돕는 이란 정부와 이를 이용하는 미국의 관계에 사우디 측이 불편한 심기를 드러낸 것이라는 해석이 많다.


11일 AFP통신, 뉴욕타임스(NYT) 등 외신에 따르면 오는 13~14일 백악관과 캠프 데이비드에서 열리는 오바마 대통령과 걸프협력회의(GCC) 6개국 정상과의 회동에 사우디에선 국왕이 아닌 최근 왕세자로 오른 모하마드 빈나예프 내무장관과 국왕의 친아들 모하마드 빈살만 부왕세자 겸 국방장관이 대신 참석한다.

사우디 외교부는 국왕이 “예멘의 인도주의적 휴전과 ‘인도주의지원을 위한 살만 국왕 센터’ 개관식 참석 차 정상회의에 참석하지 못한다”고 설명했다. 사우디 외교부는 “사우디 국왕의 예멘 내 평화와 안보를 위한 헌신, 형제같은 예멘인들에게 인도주의 지원을 신속 전달하려는 열정을 강조한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GCC회의에는 사우디 국왕이 참석할 예정이었고, 백악관은 8일 오후에야 불참을 통보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존 케리 미 국무장관이 8일 프랑스 파리에서 바레인, 쿠웨이트, 오만,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UAE 등 GCC 6개국 외교장관과 만나 정상회동 의제를 조율할 때만해도 사우디는 별다른 내색이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NYT는 살만 국왕의 정상회담 불참은 중동의 경쟁자인 이란과 미국의 최근 관계에 대한 누적된 불만을 분명하게 표출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서방 국가와 이란 핵협상은 진전됐으며, 시아파 이란 정권은 IS에 맞선 시리아 내 시아파 민병대를 후원해 선전을 거뒀다. 또 이란의 후원을 받는 시아파 후티 반군을 겨냥해 예멘을 공습한 사우디 작전으로 민간인 사상자가 늘며, 사우디에 대한 국제사회 비판은 커졌다.


/js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