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새정치 지도부 ‘사분오열’…주승용 “치욕스럽다. 사퇴하겠다”
-주승용-정청래, 8일 최고위 회의에서 서로 힐난
-주승용 “최고위원직 사퇴하겠다…지도부 모두 사퇴해야 한다”
-계파갈등 민낯 그대로 드러내…문재인 대표 책임론↑


[헤럴드경제=박수진ㆍ장필수 기자] 4ㆍ29 재보선 참패 후 불거진 새정치민주연합 내부 갈등이 ‘악화일로’로 치닫는 모양새다. 계파간 갈등으로 지도부 공개 회의 석상에서 고성이 오가고 일부 최고위원이 자리를 박차고 나가는 볼썽 사나운 모습까지 나타나고 있다. 지난 4일 “친노 패권주의 때문에 졌다”며 문재인 대표와 정면으로 맞섰던 주승용 최고위원은 8일 “치욕스럽다. 사퇴하겠다”고 밝혔다.

주 최고위원은 재보선 참패에 대한 책임으로 최고위원직 사퇴 의사를 밝혔으나 의원들의 만류로 입장을 보류한바 있다. 하지만 이날 정청래 최고위원이 “사퇴하지도 않으면서 공갈치는 것은 문제”라고 공개 비판하면서 화를 키웠다. 비노계와 호남을 대변한 주 최고위원이 사퇴 의사를 재차 밝히면서 당내 계파 갈등은 더욱 확산될 것으로 전망된다.

갈등은 8일 오전 최고위원 회의에서 시작됐다. 지난 4일 문 대표에게 재보선 참패 책임론을 제기한 후 입을 닫아 온 주 최고위원이 마이크를 잡았다.

그는 “당 내 패권주의 타파가 중요하다. 패권주의의 또다른 이름은 비공개, 불공정, 불공평이다. 선거에 패배하고 나서 가만히 있는 것도 불공평이라고 생각했다”며 “모든 사안을 공개적으로 논의하는 것이 그 시작이다. 최고위원 모르는 일이면 당원들이 알리 만무하다. 폐쇄적 의사결정 바꾸기 위해 빗장 과감히 열어야 한다”고 말했다. 당내 일각에서 제기되는 문 대표의 폐쇄적, 독단적 의사결정을 비판한 것이다.

문제는 정 최고위원의 발언에서 시작됐다. 정 최고위원은 “공개, 공정, 공평 중요하지만 사퇴하지도 않으면서 공갈치는 것이 문제”라며 “자중해야 하고 단결할 때 협조했으면 좋겠다”고 주 최고위원에 정면으로 맞섰다. 정 최고위원은 지난 4일 본인의 트위터에도 “비과학적 감정이입이다. 주 최고는 광주책임자 아닌가. 뭐 뀌고 성내는 꼴”이라며 주 최고위원을 비난한 바 있다. 

주 최고위원은 다시 마이크를 잡고 “정말 치욕적이다. 세상을 이렇게 살지 않았다. ‘사퇴하지도 않을 거면서 사퇴한다고 공갈쳤다’고 사사건건 SNS 통해서 비판해도 참아왔다. 아무리 무식하고 무능하다 해도 그런 식으로 당원의 대표인 최고위원에게 말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며 “난 공갈치지 않았다. 최고위원직을 사퇴한다. 모든 지도부가 사퇴해야 한다”고 말하고 회의장을 박차고 나갔다.

갈등의 단초는 정 최고위원의 발언이었지만 궁극적인 원인은 문 대표의 ‘침묵’에 있다는 것이 중론이다. 4ㆍ29 재보선 참패 후 주 최고위원이 나서서 ‘지도부가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며 문 대표를 압박했지만 이렇다 할 대답은 없었다. 이후 문 대표가 광주에 낙선인사를 가는 등 중요 행보를 결정하면서도 최고위원들과 사전 논의를 거치지 않는 등 당내 ‘불통’은 계속됐다. 문 대표는 금명간 워크숍을 열고 당 내 의견을 수렴해 재보선 참패에 대한 책임과 당의 혁신을 이끄는 방안을 제시하겠다는 입장이다.

비노계와 호남을 대변하는 주 최고위원이 반기를 들고 문 대표와 대립각을 세우면서 당내 계파 갈등은 더욱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난 7일 치러진 원내대표 경선에서 김한길계를 중심으로 한 비노계가 앞세운 이종걸 의원이 당선된 만큼 문 대표를 주축으로 한 친노계와 비노계의 긴장감도 더해질 전망이다.

문 대표는 이날 회의 말미에 “지금은 우리 당의 단합이 무엇보다 중요한 때다. 오늘 발언은 다소 부적절했고 유감스럽다”며 “지금까지 당 운영에 대해 미흡한 부분이 있었다면 고쳐 나가겠다”고 밣혔다.

sjp10@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