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태양광 시장 올해 20% 성장…한화ㆍ삼성SDI 잰걸음
[헤럴드경제=김윤희 기자]오랜 침체를 겪었던 태양광 모듈 시장이 올해 2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태양광 시장의 수요 회복, 비용구조 개선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한데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태양광 모듈 세계 1위인 한화그룹은 물론, ESS(에너지저장장치)와 태양전지용 전극소재 등을 만드는 삼성SDI 등의 국내 기업들도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8일 시장조사기관 IHS에 따르면 올해 태양광 모듈 시장 출하 규모는 61GW로 전년 48GW 대비 27% 성장할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계 태양광 모듈 매출규모도 지난해 310억달러에서 올해 380억달러로 20% 증가하고, 수익은 23억달러에서 50억달러로 급증할 것으로 예측됐다. 수익예상규모는 2011년 이후 최대치다. 

한화큐셀이 건설한 영국 케임브리지 스토브리지 태양광 발전소.

태양광 시장은 유럽 각국이 경기침체로 보조금과 세제혜택을 줄인데다, 국제유가 하락으로 가격경쟁력을 잃으면서 침체기를 걸어왔다. 또한 공급과잉, 가격붕괴로 유럽과 중국의 태양광업체들이 줄도산을 맞았다.

IHS는 “최근 2년간 태양광시장이 매우 어려웠지만 올해는 좀더 안정되고 지속적인 수익을 내는 해가 될 것”이라며 “2009~2011년의 좋았던 시절까지는 아니지만 태양광산업이 터닝포인트를 맞고 있는 것은 확실하다”고 분석했다.

태양광시장의 수요회복과 함께 모듈 평균판매단가(ASP) 하락, 비용구조 개선 등이 겹치면서 올해 중국에서만 4GW 이상의 수요증가가 예상된다. 미국과 영국, 인도, 태국, 칠레 등에서도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에 국내 태양광 기업들도 모처럼 찾아온 기회를 놓치지 않기위해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한화그룹은 지난달 한화큐셀이 미국 전력기업인 넥스트에라 에너지와 업계 최대 규모인 1.5GW의 모듈 공급 계약을 맺었다. 2017년 이후에도 넥스트에라가 짓는 태양광 발전소에 모듈을 공급할 가능성이 높아 안정적인 제품 수요처를 확보하게 됐다.

태양광 부품을 만드는 삼성SDI도 지난달 말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태양광 박람회(SNEC PV Power Expo) 2015’에 참가해 태양전지 관련 기술과 제품을 선보였다. 이 회사는 태양전지에서 태양광 패널의 전기를 모아 이동시키는 핵심전극소재인 PV페이스트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ESS분야에서도 앞서나가면서 유럽과 일본, 북미 가정용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

wor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