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5월 ‘轉機’ 맞는 전기차
[헤럴드경제=천예선ㆍ정태일 기자]5월 전기자동차가 새로운 ‘전기(轉機)’를 맞는다.

오는 3~6일 경기 고양 킨텍스에서 세계 최대 규모의 ‘세계 전기자동차 학술대회 및 전시회(이하 EVS 28)’가 개최된다. 국회도 저속전기차 보급 활성화를 위해 규제 빗장을 풀기 시작했다. 현행법상 저속전기차는 최고속도 시속 60km 도로에서만 주행이 가능했지만 앞으로는 80km 이하 도로에서도 달릴수 있게 됐다. 자동차 업계는 이같은 분위기를 타고 5월 한 달 간 시승행사와 전기차를 이용한 가정용 전기공급 시연 등을 통해 전기차 띄우기에 나섰다.
오는 3~6일 경기 고양 킨텍스에서 세계 최대 규모의 ‘세계 전기자동차 학술대회 및 전시회(이하 EVS 28)’가 개최된다.

▶전기차 논의 한국서 ‘만개’=EVS 28(The 28th International Electric Vehicle Symposium and Exhibition)은 전기차 기술을 선도하는 글로벌 업체들을 한 곳에서 만나 동향과 기술 발전을 논의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전기차 행사다. 1969년부터 시작돼 올해 28회째를 맞는 이 행사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심포지움으로도 꼽힌다.

우리나라에서는 2006년 부산에서 열린 이래 이번이 두번째다. 매년 대륙을 순환하며 열리는 ‘전기차 올림픽’격으로 아시아에서는 완성차 생산 능력이 있는 한국, 중국, 일본 3국에서만 개최가 가능하다.
기아차 쏘울 EV

올해에는 세계 45개국에서 전기차 전문가 및 관계자가 1000여명 참석해 관련 논문 330편을 발표한다. 또 전세계 150여개 업체가 참여해 400여개 부스를 운영한다. 특히, 전시업체 중 60%가 해외 업체로 국내 전기차 관련 업체들에게 해외 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예상 관람객 수는 1만여 명이다. 
한국지엠 스파크EV

▶글로벌 완성차 임원 총출동=이번 행사에는 글로벌 자동차 업체 임원들도 대거 집결한다. 현대기아차 권문식 사장과 GM 글로벌의 전기차 총괄 래리 T 니츠 부사장, 르노의 질 노만 아태지역 부회장, 미국 에너지성의 기술 개발 매니저 티엥 투엉 등이 기조연설을 통해 친환경차 전략과 미래 청사진을 제시한다.

현대ㆍ기아차는 권문식 사장의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학술논문 8편을 발표할 예정이다. 전시관에는 쏘울 EV, 투싼 수소연료전지차, 쏘나타 PHEV 등 3대를 전시한다. 현대차는 내년 준중형급 전기차 전용모델을 출시할 계획이어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르노삼성 SM3 Z.E.

한국지엠과 르노삼성은 글로벌 본사 임원들이 출동해 직접 간담회를 열고 전기차 전략에 대한 심도있는 대화를 나눌 예정이다. 한국지엠의 전기차 ‘볼트’의 국내 출시 여부가 초미의 관심이다.

닛산은 세계 판매 1위 순수 전기차인 ‘리프’를 중심으로 친환경차의 앞선 기술력을 선보인다. 야지마 카즈오 닛산 전기-하이브리드차(EV-HEV) 글로벌 얼라이언스 총괄이 참석해 닛산의 전기차 비전 및 기술 노하우를 공유한다. 특히 부스에서는 리프를 이용한 가정용 전기공급시스템 ‘리프 투 홈’을 시연한다.
BMW i3

관람객들은 전기차를 직접 타 볼수 있는 기회도 얻는다. 이번 행사에서는 GM 스파크, 기아자동차 쏘울, 르노삼성 SM3, 르노 트위지, 닛산 리프, BMW i3 등 전기차는 물론 만도 풋루스, 이탈로 오토사이클스가 선보이는 전기자전거, 그리고 CM파트너의 썬바이크 전기오토바이를 체험할 수 있다. BMW는 행사 이후에도 5월 한 달 간 주말 시승 이벤트를 이어간다.

동부증권 권성률 연구원은 EVS 28과 관련해 “최근 바닥 벗어나는 유가동향와 환경규제 강화와 맞물려 전기차 분위기가 환기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닛산 리프

▶전기차 법률 정비도 가속=전기차 보급 활성화에 국회도 뒤늦게나마 힘을 보탰다. 앞으로는 최고속도 시속 60km 이하 도로 운행으로 한정됐던 저속전기차가 필요 시 시속 80km 이하에서도 달릴 수 있게 된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는 지난달 29일 교통법안소위원회에서 이같은 내용의 자동차법 일부개정법률안을 의결했다.

법안을 대표 발의한 심재철 의원은 “저속전기차 운행구역 한정으로 운행이 자유롭지 못해 보급 및 관련 산업 활성화의 저해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저속전기차 단절구간 해소를 위해 최단거리에 한해 운행구역으로 지정함으로써 안전하고 편리한 운행 지원 및 보급 확대와 관련 산업 활성화를 도모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che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