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치 판을 뒤흔들…4·29재보선‘2석’의 정치학
갤S6 올라탄 삼성전자 2분기 운명은ㄱ…새누리 2석 이상땐 개혁작업 탄력 전망
이번 4ㆍ29 국회의원 재보궐선거는 국회의원 4석을 뽑는 ‘미니 선거’지만 정국에 미칠 후폭풍은 상당하다.

우선 차기 ‘잠룡’으로 불리는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 체제가 각각 출범 뒤 처음 맞대결하는 선거란 점에서 의미가 남다르다. 또 선거 결과에 따라 집권 3년차 박근혜 정부가 정국 주도권을 갖거나 조기 레임덕에 직면할 수도 있다.

▶새누리 ‘2곳이면 승리’=새누리당은 새정치연합에 비해 느긋하다. 애초 선거구 4곳 중 3곳(서울 관악을, 경기 성남 중원, 광주 서을)은 야당 강세지역으로, 안덕수 전 의원의 의원직 상실로 재선거가 치러지는 인천 서구ㆍ강화을만 수성하면 본전인 셈이다.

새누리당이 2곳 이상을 가져갈 경우 ‘성완종 리스트’란 돌발 악재 속에서도 선전했다는 점에서 국정을 안정적으로 운영할 동력을 얻게 된다.

경기 성남 중원은 선거 전 여론조사부터 우세 지역으로 나타나 ‘2석’에 대한 기대감도 높다. 서울 관악을의 경우 국민모임 정동영 후보의 출마로 3자 대결이 펼쳐지게 돼 야권 분열의 반사이익을 기대해 볼만 하다. 27년 동안 야당이 지배한 관악에 새누리당의 깃발을 꽂는다면 새누리당 입장에선 확실한 재보선 승리를 거머쥐는 셈이다.

이 경우 정부와 여당이 강력히 추진하고 있는 공무원연금개혁은 물론 공공ㆍ노동ㆍ금융ㆍ교육 등 4대 개혁도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아울러 김무성 대표는 여권의 유력 대권 주자로서의 입지가 한층 두터워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새누리당이 인천 서구ㆍ강화을을 내준다거나 수도권에 1석만 챙기는 데 머문다면 수도권 민심에 타격이 불가피하다. 특히 내년 총선을 앞둔 수도권 의원들이 동요하며 김 대표의 리더십도 일정 부분 타격을 받을 수 있다.

아울러 정부의 4대 개혁 등 정책의 추진력이 떨어지며 집권 3년차에 조기 레임덕으로 빠질 것이라는 우려까지 나온다.

▶새정치연합 ‘반드시 2곳은 승리해야’=새정치연합 역시 ‘2석 확보’를 재보선 승리 조건으로 보고 있다. 자신들의 텃밭인 광주 서을과 서울 관악을 두곳만 승리하다라도 “야권분열의 위기를 극복했다”며 안도할 수 있다.

성남과 인천ㆍ강화에서 승리를 거둬 3승을 기록할 경우에는 ‘대승’을 선언할 여건도 마련된다. 특히 야당은 인천ㆍ강화에서 여야 후보가 치열한 경합을 벌이고 있어 ‘해볼만 하다’는 분위기다. 전통적인 여당 텃밭인 인천ㆍ강화에서 승리는 ‘1석+α(알파)’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새정치연합이 재보선에서 승리할 경우 성완종 파문에 대한 별도 특검과 해외자원개발 비리의혹에 대한 상설특검 등 ‘쌍끌이 특검’ 공세에 힘이 더욱 실릴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야당으로서는 2011년 4월 재보선 이후 무려 4년여만의 재보선 승리로, 내년 총선까지 승기를 가져갈 수 있다. 문 대표 역시 당내 입지를 확고히 하면서 당분간 야권 대권주자로서 자리를 굳힐 수 있다.

하지만 광주에서의 패배는 1석을 잃은 것 이상의 상처가 될 것이다. 광주 서을을 무소속 천정배 후보에게 내준다면 호남에서 ‘제1야당’의 입지는 치명상을 입을 수밖에 없다. ‘서울의 광주’라 불리는 서울 관악을도 반드시 지켜야할 곳이다.

광주와 관악을 지켜내지 못할 경우 만만찮은 후폭풍이 예상된다. 당내에서 선거패배 책임론과 함께 고질적인 계파갈등이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 문 대표 역시 ‘1등 대권주자’로서의 위상이 흔들릴 수밖에 없다.

광주 서을에서 천정배 후보나 관악을에서 정동영 후보가 승리한다면 야권발 정계 개편의 ‘방아쇠’가 될 수도 있다.

▶2대2 무승부…팽팽한 주도권 싸움= 새누리당이 성남 중원과 인천서ㆍ강화을에서 승리하고 새정치연합이 광주 서을과 서울 관악을을 가져갈 경우, 승부의 균형추는 어느 한쪽으로 기울었다고 보기 어렵다. 사실상 ‘무승부’ 평가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새누리당이 성남을 취한 가운데 야당 텃밭인 관악에서 승리하고 새정치연합이 광주에서 승리하고 여당 텃밭인 인천ㆍ강화에서 승리하며 서로 ‘텃밭’을 맞바꾸게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 경우 각종 국정현안 등을 둘러싸고 여야간 주도권 확보 싸움이 치열하게 전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기훈 기자/kihu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