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일산화질소 응집기술 개발…심뇌혈관질환 치료 가능성↑
[헤럴드경제=이정아 기자] 국내 연구진이 몸속의 일산화질소를 효과적으로 응집하는 기술을 개발됐다. 일산화질소를 이용한 뇌졸중이나 동맥경화 등 심뇌혈관계 질환 치료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기초과학연구원 복잡계조립연구단 이은성 연구위원이 주도한 연구팀은 질소가스 환경에서 일산화질소와 ‘N-헤테로고리 카벤’이란 유기물질을 반응시켜 고체 상태로 합성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응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비용도 저렴하고 환경오염도 줄였다. 심혈관 질환 치료에 새로운 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수도관에 녹이 슬거나 이물질이 쌓이면 깨끗한 물이 흐를 수 없다. 사람의 혈관도 마찬가지. 혈액의 콜레스테롤이나 나쁜 화합물질이 혈관 내막에 쌓여 혈전 같은 응어리가 생기면 혈액이 제대로 흐르지 못한다. 뇌졸중, 동맥경화, 협심증 등 소위 ‘심뇌혈관계 질환’이 발생한다.

사람은 혈관을 확장하고 청소하는 효자 물질을 체내에서 만들어낼 수 있는데 바로 일산화질소(No)다. 체내에서 자연 합성되지만 나이가 들면 합성력이 떨어져 심뇌혈관계 질환 위험이 높아진다. 심뇌혈관계 질환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체내에서 일산화질소 생성을 도와주는 약물을 사용한다.

연구팀은 유기물질인 ‘N-헤테로고리 카벤’을 활용해 일산화질소를 고체 상태로 응집하는데 성공했다. 이 상태에 열을 가하면 일산화질소를 추출해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도 입증했다. 기존에 나온 중금속 촉매물질을 사용한 응집법보다 비용도 저렴하고 환경오염 문제도 없다.

이 연구위원은 “일산화질소를 체내에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했다는데 의미가 있다”며 “일산화질소 전달 효율을 높이는 방법 등에 대한 연구가 이뤄지면 의학 및 약학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성과는 화학분야 권위지인 ‘미국화학회지’ 온라인판에 지난 6일자로 게재됐다. 제1저자는 POSTECH 화학과 박준범 학부생, 송하영·김영석 석박사 통합과정생 등이다.

dsu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