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충동조절장애…“설마 나도?”…자가진단 필요
[헤럴드경제] 충동조절장애는 충동적으로 긴장감이 증가하고 이를 해소하려 위해 행동을 하는 정신질환이다. 충동조절장애는 여러 종류의 장애를 수반하며, 강박증과 중독과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충동조절장애를 앓게 되면 자신이나 타인에게 해가 되는 행동을 반복하는 증상을 보인다. 이런 충동과 욕구를 스스로 억제하거나 조절하지 못하고, 충동적 행동을 하기 전 긴장이 고조되고 각성된다. 행동으로 옮긴 후에는 일시적 쾌감이나 긴장 해소를 경험하기도 한다. 

충동조절장애를 앓는 사람은 늘어나는 추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09년 3720명이던 충동조절장애 환자수는 2013년 4934명으로 늘면서 4년 새 32.6%가 증가했다. 2013년 기준 10대 남성에게 가장 많이 나타났고, 20대 남성과 30대 남성이 그 뒤를 이었다.

충동조절장애 환자들은 대부분 ‘무시당했다’는 기분에 사로잡혀 쉽게 분노 등의 감정을 조절하지 못한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개인주의와 과도한 자기애가 배경에 깔려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충동조절장애는 분노조절장애로 이어질 수 있어 조기치료가 필요하다. 간단한 자가 진단으로 자신의 상태를 확인해볼 수 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