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백두산 화산 활성화 조짐 3가지…“일본의 대규모 지진이 예고장?”
백두산 화산 활성화 조짐 3가지, 해발·온천수 온도·헬륨 농도

[헤럴드경제]백두산 화산 활성화 조짐이 뚜렷하다는 주장이 나온 가운데 일본에선 “20년내 폭발가능성이 99%”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12일 SBS 보도에 따르면 윤성효 부산대 지구과학교육과 교수는 “지난 2009년부터 침강하던 백두산 천지 칼데라 외륜산의 해발이 지난해 7월부터 서서히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백두산 폭발을 예고했다.

윤 교수는 중국 국가지진국 지질연구소 활화산연구센터와 공동으로 전자 거리측정기(EDM)를 이용해 해발을 측정한 결과 침강하던 백두산이 다시 융기를 시작했다고 전했다.

이어 윤 교수는 “백두산 일대에서 한 달에 수십에서 수백 차례 화산성 지진이 발생했던 2002년부터 2005년 사이에도 외륜산 해발이 10㎝가량 상승했고 2009년 이후 점차 하강했다”면서 “1990년대 섭씨 69도였던 온천수의 온도가 최근에는 최고 83도까지 올라갔다. 온천에서 채취한 화산가스의 헬륨 농도도 일반적인 대기의 7배나 되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설명했다.


백두산의 이 같은 현상을 두고 윤 교수는 “해발, 온천수 온도, 헬륨 농도가 모두 상승 또는 증가하는 것은 마그마의 뜨거운 기운이 점차 위로 올라오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며 “백두산 화산이 활성화하는 조짐이 뚜렷한 만큼 예의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일본의 화산 전문가인 다니구치 히로미쓰 도호쿠대 명예교수는 지난 2012년 한 학술대회에서 3·11 대지진(규모 9.0) 판(板·plate) 운동의 영향으로 백두산이 분화할 확률이 2019년까지 68%, 2032년까지 99%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다니구치 교수는 역사상 발생한 일본의 대규모 지진과 백두산 분화의 시기적 연관성을 근거로 이런 추론을 했다. 그는 한국과 중국의 역사서 기록 등을 조사한 결과 백두산이 10세기에 대분화를 일으킨 뒤 14~20세기에 최소 6차례 분화했다고 주장했다. 다니구치 교수는 “백두산의 분화 시점은 늘 일본에서 대지진이 발생한 후였다”고 밝혔다.

백두산은 1373년, 1597년, 1702년, 1898년, 1903년, 1925년 등에 분화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분화에 앞서 일본에서 대규모 지진이 발생했다.

하지만 백두산 지진 가능성이 낮다는 주장도 있다. 특히 중국 국가지진국 지질연구소 측의 화산 폭발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에 대해 중국의 지진 관측이 이전에는 없었다가 1990년대 말부터 시작했으니 당연히 화산 폭발과 연관되는 데이터들이 측정될 수 밖에 없다는 견해도 나왔다.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과 런던 임페리얼칼리지 대학 연구진은 지난 2013년 북한을 방문해 북한 연구진과 함께 백두산의 화산 폭발을 연구해왔다. 런던 임펠리얼칼리지 대학의 제임스 해먼드(Hammond) 교수는 지난해 “백두산에서 조만간 대폭발할 가능성은 적다”고 예측한 바 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