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석촌호수 지난해 수위급감은 수질관리 때문”
-송파구ㆍ롯데측 정화방식 바꿔…최근 6년간 433만t 투입


[헤럴드경제=이진용 기자] 지난해 석촌호수 수위가 급격히 낮아진것에는 서울 송파구와 롯데측이 수위를 50㎝ 낮췄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송파구와 롯데측에 따르면 송파구에는 최근 6년간 433만t의 한강 물이 투입됐으며 물 사용료만 7억 2000만원을 지출했다.

양측은 인공호수인 석촌호수의 수위를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한강 물을 투입하고 있다.

2009년 64만t, 2010년 38만t, 2011년 48만t, 2012년 66만t, 2013년 94만t, 지난해 123만t의 한강 물을 끌어다 썼다.

양측은 법에 따라 물이용부담금도 내고 있다. 롯데는 호수 내 매직아일랜드를 사용하고 있어 비용을 부담하게 됐다.

물 사용료는 2009년 1억원, 2010년 6000만원, 2011년 8000만원, 2012년 1억 1000만원, 2013년 1억 6000만원, 지난해 2억 1000만원 등이다.

주목할 만한 부분은 물 투입량이 2013년보다 지난해 30%가량 급증했다는 점이다.

롯데는 매직아일랜드 사용 계약 때 수질관리에 대한 책임을 지기로 약속해 석촌호수 수위를 4.5∼5m로 유지해 왔다.

그러나 수질관리 기술이 물 투입 외에 압력으로 오염물질을 띄워 건져내는 가압부상법으로 바꾸면서 송파구와 롯데는 수위를 4∼4.5m로 낮췄다.

그런데 이런 사실이 알려지지 않은 상황에서 제2롯데월드 안전 문제가 불거지면서 호수 수위가 낮아진 게 제2롯데월드 때문이라는 지적이 일었다.

이에 송파구와 롯데는 인위적으로 수위를 낮췄던 배경을 밝히지 않은 채 한강 물을 추가로 끌어와 수위를 높였다.

하지만 수위를 높이기 위해 한강 물을 투입하는 구간(수위 4.5m~5m)은 물빠짐 현상이 강한 모래층이다. 이구간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한강물을 끌어다 쓸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롯데 관계자는 “경관 유지를 위해 연 50만t 정도가 추가 투입되고 있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송파구 관계자도 “수위 4.5∼5m 구간 측면에 콘크리트 시설물이 있는데 수위를 조금만 낮춰도 그게 바로 보여 주민 불안도 늘고 경관 관련 민원도 있어 다시 높였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제2롯데월드 건설과 석촌호수 수위 저하 간 연관성을 밝히는 연구용역 결과와 더불어 수위 조정 등 모든 정보를 시민과 공유해야 불안도 수그러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롯데측 관계자는 “석촌호수 수위와 관련한 연구용역이 현재 마무리 단계에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내달중 용역결과가 나오면 결과에 따라 조치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jycaf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