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늙을 수록 더 힘들어지는 건 남자 보다 여자
[헤럴드경제] 남자보다 여자의 평균수명이 더 길지만, 나이가 들수록 여자들의 생활고가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12일 65세 이상 전국 1만452명의 노인(남자 4355명, 여자 697명)을 대상으로 벌인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결과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 내용을 보면 우선 가장 기본이 되는 가구형태에서 남녀노인 간에 큰 차이가 발견됐다.
배우자와만 생활하는 비율이 남자노인은 61.4%, 여자노인은 32.5%였다. 특히 여자노인의 32.3%는 혼자 생활하고 있었다. 일상생활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배우자나 다른 가구원이 없이 살아야 하기에 그만큼 생활상의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큰 셈이다.
게다가 여자노인은 경제적으로도 취약했다. 국민연금 등 공적연금 가입을 통한 안정적이고 독자적인 노후소득도제대로 확보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공적연금소득이 있는 비율은 남자노인은 51.0%에 이르지만, 여자노인은 18.3%에그쳤다. 전통적 성역할 수행으로 말미암아 여자노인은 지속적, 안정적으로 노동시장에 참여할 기회를 얻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여자노인은 객관적인 건강상태도 나빴다. 여자노인은 여러 가지 질병에 시달리는 복합이환율이 78.6%로, 남자노인보다 약 15%포인트 높았다. 여자노인의 기능제한율도 23.7%로 남자노인보다 약 13%포인트 높았다. 38.1%의 여자노인이 우울 증상을 보여, 남자노인보다 12%포인트 높았다.
그 결과, 주관적인 건강상태 만족도 많이 낮았다. 22.6%의 여자노인만이 자신의 건강에 대해 만족하고 있었다. 이런 수치는 남자노인의 약 3분의 2 정도에 불과한 것이다.
여자노인은 경제활동참가율과 연간 여행경험률도 남자노인보다 낮았다. 낙상률이나 안전사고 경험률, 차별경험률, 학대경험률도 여자노인이 남자노인보다 높았다. 생활하기 불편한 주택에서 거주하거나 외출할 때 불편을 경험하는 비율도 여자노인이 월등히 높았다. 다만, 평생교육참가는 여자노인이 훨씬 활발하고, 전반적인 사회·여가·문화활동에 대한 만족도도 남자노인보다 높았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