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우리국민 10명 중 3~4명 “나는 행복하지 않다”
[헤럴드경제=김태열 기자]우리 국민 10명 중 3~4명은 ‘행복하지 않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신경정신의학회가 지난 4일 ‘정신 건강의 날’을 맞아 서울 및 6대 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20~59세 남ㆍ여 1000명 을 대상으로 ‘국민정신건강과 행복‘에 대한 조사한 결과 ‘행복하다‘고 느끼는 사람은 64%였으며, 36%는 ’행복하지 않다’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체 대상자 중 3분의1 정도는 우울ㆍ불안ㆍ분노와 같은 정서적 문제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28%는 우울증이 의심됐으며, 21%는 불안장애가 의심됐다. 또 분노조절장애가 의심돼 전문가와 상담이 필요한 대상자도 11%에 달했다. 


행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두 가지 요소는 ‘건강상태에 대한 인식’과 ‘우울증상’이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요인들이 행복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왔다.

건강상태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결혼은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증 점수ㆍ분노 조절장애 점수ㆍ스트레스 정도는 행복에 유의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조사 대상자 중 42%는 일생 중 한번 이상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에게 상담이나 치료를 받고 싶은 문제가 있었다고 답했으며 정신건강의학과를 방문해 상담받고 싶은 문제로는 우울증(44%)이 가장 많았다. 우울증으로 실제 치료를 받은 대상자 중 70%는 증상 호전을 경험했다고 했다.

우울증 하면 떠올리는 증상은 기분 저하, 흥미 상실 등이 각각 83%, 7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집중력 저하ㆍ결정장애ㆍ건망증과 같은 인지기능 저하 증상이 51.6%였고, 전체 응답자의 56%는 스스로 우울증인가를 의심해 본 경험이 있었다.

연령에 따라 20~30대의 경우 일상생활에 흥미 상실, 40대는 수면장애ㆍ불면증과 이유없이 우는 현상, 50대는 인지장애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왔다.


대한신경정신의학회 김영훈 이사장은 “이번 조사는 정신건강의 문제가 국민 행복과 직결된다는 결과를 보여준 것에 의미가 있다”며 “이미 UN에서도 세계행복조사를 통해 정신건강의 문제가 불행의 큰 원인이 됨을 지적하면서 세계 각국의 지도자들이 경제 발전은 물론 정신건강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도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함을 역설한 바 있다”고 했다.

한편 대한신경정신의학회는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개선과 국민지식 수준 향상을 위해 서울을 시작으로 마포아트홀 1~12일, 강남구민회관 19~22일, 강서문화원 24~30일 등 ‘나를 찾는 행복상자’라는 주제로 정신건강 특별전을 개최하며, 정신건강에 관한 체험, 강연 및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무료 상담이 제공되는 정신건강 박람회는 광주 김대중컨벤션 센터(4월15일), 부산 벡스코(4월17~18일), 대구 엑스코(4월21일)에서 개최된다.

kt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