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박해묵의 印像] 라오스의 어린 형제가 가르쳐준 행복
[헤럴드경제=박해묵 기자]라오스 국민들의 행복지수는 세계1위라고 합니다. 반면 한국은 최하위권에 머물고 있죠.

낯선 이와 눈을 마주치면 왜 쳐다보느냐고 시비거는 일이 다반사인 우리나라와 달리, 웃으며 인사하는 사람들. 인사를 먼저 건네면 양손에 짐을 들고 가다가도 짐을 내려놓고 합장하며 답해주는 사람들, 지저분한 도로와 어수선한 신호등 사이에서 사람들을 가득 실은 툭툭이와 많은 오토바이, 자전거들이 신기할 정도로 유유히 오고 갑니다. 빵빵거리는 경적소리도 없습니다. 무슨 일이든 라오스 사람들은 ‘ 내 복은 여기까지구나’ 라고 생각하며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다고 합니다. 


태어나면서 죽을때까지 극한의 경쟁에 내몰리느라 지쳐 생을 소모하는 우리는 상상도 못하죠.

버스를 타고 방비엥에서 루앙프라방으로 가는 길에 고산족 몽족의 마을을 찾았습니다.

몽족은 깊은 산속에 고립된 채 가난한 일상을 살아갑니다. 농사도 짓지만 풍요로울리 없습니다. 가끔 관광객들을 상대로 자신들이 사는 모습을 보여주고 생활용품을 받는 정도로도 아쉬울 것 없어 보였습니다.

길 가에 작은 판잣집을 찾았는데 몽족 어린 형제가 환하게 웃으며 다가옵니다. 낯선 관광객들과도 눈을 쉽게 마주치며 미소를 짓습니다. 흔히 후진국가에 가면 어린아이들이 관광객들에게 구걸하는 모습이 생각났습니다. 하지만 이 친구는 동생을 등에 업은 채 미소 띤 얼굴로 관광객들을 신기하게 바라보며 주변을 서성입니다. 등 뒤에 업은 동생이 무거울 법도 한데 동그란 얼굴에 웃음이 사라지지 않습니다. 안쓰러운 마음도 들고, 대견하다는 생각도 하면서 그 형제를 카메라에 담습니다.

그들이 사는 모습을 찬찬히 둘러본 뒤, 작은 댓가로 라오스보다 몇배는 더 잘 사는 한국에서 온 사람들이 생활용품을 건넵니다. 고맙다는 인사를 하며 받아갑니다.

순간 물질적으로 도와준다는 게 미안한 마음이 듭니다. 물질적인 풍요가 행복의 척도는 아니라고 머리로는 백번 되뇌이지만 실천하기는 너무 어려웠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넉넉지 못한 여건에서도 행복을 느끼며 사는 이들을 보니 잔잔한 울림이 느껴집니다. 작은 일에 감사하고, 늘 행복을 누리고 사는 이 친구들이 더 풍요롭습니다. 귀여운 동생을 업고 다닐 수 있고, 착한 형 등에 업혀있고, 신기한 외국사람 구경도 하고, 생각지못한 작은 선물도 생겼으니 이 형제는 짧은 순간에도 여러가지 행복을 느꼈을지 모릅니다.

행복하다는게 너무 어려운 일이라고 생각해왔던 저는 이들에게 배웠습니다. 행복을 느끼는 법을 알려준 라오스, 껍짜이!(라오스어로 고맙습니다.)


사진ㆍ글/moo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