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호암재단, 천진우 박사 등 5명 호암상 수상자로 선정
[헤럴드경제=이슬기 기자] 호암재단은 1일 제25회 호암상 수상자로 천진우 연세대 언더우드 특훈교수(53, 과학상), 김창진 미국 UCLA 교수(57, 공학상), 김성훈 서울대 교수(57, 의학상), 김수자 현대미술작가(58, 예술상), 백영심 간호사(53, 사회봉사상)를 선정했다.

호암재단은 국내외 각계 주요기관과 전문 인사들로부터 추천받은 후보자를 대상으로 분야별 국내 저명 학자ㆍ전문가로 구성된 37명의 심사위원회의 업적 검토와 해외 석학 30명으로 구성된 자문단 평가, 현장 실사 등을 거쳐 이들을 수상자로 확정했다.

(왼쪽부터)천진우 연세대 언더우드 특훈교수(53, 과학상), 김창진 미국 UCLA 교수(57, 공학상), 김성훈 서울대 교수(57, 의학상), 김수자 현대미술작가(58, 예술상), 백영심 간호사(53, 사회봉사상).

특히 올해부터 노벨상 수상자 2명 등 해외 저명 석학 4명이 호암상 심사위원회에 직접 참여해 후보자의 업적을 국제적 차원에서 검증했다.

우선 과학상을 받는 천진우 박사는 나노과학의 세계적 대가다. 그는 세계적 수준의 나노물질 개발을 위한 화학적 설계 기술을 확립하고, 설계한 나노입자의 크기를 조절해 MRI 조영 효과를 조정할 수 있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증명했다. 또 ‘생체 나노스위치’를 개발해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소멸시킬 수 있음을 증명하는 등 나노과학을 의학분야와 성공적으로 접목, 진보적 융합과학 연구분야를 개척했다.

공학상 수상자인 김창진 박사는 전기 습윤기술의 창시자로, 전위차를 이용해 액체의 습윤성과 표면장력을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 기존보다 훨씬 쉽고 빠르게 미세유체의 제어를 가능하게 한 점을 높이 평가받았다. 또 액체와의 마찰력을 획기적으로 줄인 나노 사이즈의 바늘구조 표면을 개발해 더 작은 에너지로 동작이 가능한 제품 상용화 기술 기반을 마련하기도 했다.

의학상 김성훈 박사는 항암 단백질 전문가로 생체 단백질 합성효소(aminoacyl-tRNA synthetase)가 세포의 증식, 분화, 사멸에 관여한다는 새로운 사실과 이 ARS들이 암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또 인체 내 단백질 AIMP3/p18 및 AIMP2/p38과 같은 암 억제 단백질들을 발견함으로써 새로운 항암제의 개발 가능성을 제시했다.

예술상 김수자 작가는 ‘보따리’, ‘바늘여인’, ‘호흡’, ‘지수화풍’ 시리즈를 통해 자신만의 독창적 예술세계를 구축했으며, 뉴욕을 기반으로 전 세계에서 활약하고 있는 현대미술작가. 김 작가는 평면 및 입체 설치, 비디오아트, 퍼포먼스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시간과 공간, 삶과 예술의 의미와 관계를 탐구하는 대표적인 개념미술 작가로 세계 주요 비엔날레와 국제 전시 무대에서 크게 주목받고 있다.

‘말라위의 나이팅게일’로 불리는 백영심 간호사(사회봉사상)는 지난 1994년부터 아프리카 말라위에서 봉사활동을 펼쳐 오며 현지에 병원을 설립, 세계 각국 의료진의 자원봉사 활동을 이끌어 냈다. 이를 통해 현지에는 연간 20만 명을 치료할 수 있는 의료기반이 구축됐다. 또 보건의료 인력양성을 위해 현지에 간호대학을 설립하고 초등학교, 유치원 등 교육기관을 세워 원주민 계몽에도 힘쓰는 등 국가와 민족, 종교를 초월한 인류애를 실천해 온 점이 높게 평가받았다.

제25회 호암상 시상식은 오는 6월 1일 오후 3시 호암아트홀에서 열리며, 각 수상자들은 상장과 메달(순금 50돈), 3억 원의 상금을 받게 된다.

호암재단은 아울러 시상식 전후인 5월 29일과 6월 2일 ‘제3회 호암포럼’을 열어 호암상과 노벨상 수상자 등 국제 석학과 국내 전문가들이 교류와 협력을 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5월 29일 포럼에서는 ‘인슐린 생물학과 당뇨’라는 주제로 랜디 셰크먼 박사(미국 UC 버클리 교수, 2013년 노벨생리ㆍ의학상), 김성국 박사(미국 스탠퍼드대 교수, 2014년 호암의학상)가 강연을 하며, 6월 2일 포럼에서는 ‘대사공학’을 주제로 제임스 리아오 박사(미국 UCLA 교수)와 이상엽 박사(KAIST 특훈교수, 2014년 호암공학상) 등이 강연한다.

5월 30일에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셰크먼 박사의 강연회도 성균관대에서 열릴 예정이다.

한편 호암상은 호암 이병철 선생의 인재 제일주의와 사회 공익정신을 기려 학술ㆍ예술 및 사회발전과 인류복지 증진에 탁월한 업적을 이룬 인사를 현창하기 위해 1990년 이건희 삼성 회장이 제정했다. 올해(25회 시상)까지 총 127명의 수상자들에게 199억원의 상금이 수여됐다.

yesyep@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